25번 대책도 '무용'…文정부서 강남 아파트값 3.3㎡당 3000만원↑
2021-03-24 14:08
2017년 5월 4397만원→올해 2월 7492만원
서울 아파트 평균매매가는 1868만원 상승
서울 아파트 평균매매가는 1868만원 상승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서울 아파트 3.3㎡당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이 1800만원 넘게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강남구는 3000만원을 웃돌아 서울 거주자들의 주거부담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24일 부동산 정보제공 업체 경제만랩이 KB부동산 리브온의 주택가격동향을 살펴본 결과, 지난 2017년 5월 서울 아파트 3.3㎡당 평균 매매가격은 2326만원이었지만, 올 2월에는 4194만원으로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1868만원 상승한 것으로 확인됐다.
서울에서 아파트 3.3㎡당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이 가장 많이 오른 곳은 강남구로 확인됐다. 지난 2017년 5월 강남구 아파트 3.3㎡당 평균 매맷값은 4397만원이었지만, 2월에는 7492만원으로 3095만원 상승했다.
강남구를 포함해 문재인 정부 이래 3.3㎡당 평균 매매가격이 2000만원 이상 오른 자치구는 9곳으로 나타났다.
서초구가 2017년 5월 3831만원에서 2021년 2월 6470만원으로 2639만원 상승해 서울에서 두 번째로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이 높았고, 송파구도 2870만원에서 5348만원으로 2478만원 올라 강남3구의 아파트 가격 상승세가 높았다.
강남구의 압도적인 아파트 가격 상승세는 실거래가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국토교통부의 실거래가 통계시스템에 따르면 서울 강남구 도곡동에 위치한 '도곡1차 아이파크' 전용면적 84.122㎡는 지난 2017년 5월 10억4000만원에 거래됐지만, 올해 2월에는 20억원에 실거래가 이뤄지면서 92.3%의 상승률을 기록했다.
강남의 대표적인 재건축 아파트인 대치동 은마아파트도 문재인 정부 이후 10억원 급등했다. 지난 2017년 5월 은마아파트 전용면적 76.79㎡는 12억원에 실거래가 이뤄졌지만, 올해 2월에는 22억원에 거래돼 문재인 정부 이후 83.3% 올랐다.
서울의 주거비 부담이 커지면서 서울시 등록인구는 32년 만에 처음으로 1000만명을 하회했다.
서울시의 지난해 말 기준 인구는 991만1088명으로, 1001만983명을 기록했던 2019년보다 9만9895명 줄었다. 서울 집값이 감당하기 어려운 수준으로 치솟으면서 서울을 떠나 경기 등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는 가구가 늘어난 탓이다.
황한솔 경제만랩 리서치연구원은 "공시지가 상승으로 인해 다주택자에 대한 세 부담이 커지면서 일부 아파트들의 가격 조정이 있을 수 있지만, 강남구의 경우 다른 지역보다 수요가 탄탄하고 증여를 통해 보유한 주택을 처분할 수 있는 만큼 아파트 가격 안정화는 어려울 수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지난해 고공행진하던 집값은 고점을 찍고 잠시 숨고르기에 들어갔지만 매도자와 매수자 간 눈치싸움이 치열한 상황이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서울은 2·4대책 발표 직전인 2월 첫째 주 0.10% 올라 올해 최고 상승률을 기록한 뒤 6주 연속(0.09%→0.08%→0.08%→0.07%→0.07%→0.06%) 상승폭이 줄었다.
그러나 매물이 넉넉하지 않아 당장 집값 하락으로 이어질지는 조금 더 지켜봐야 한다. 강남 다주택자들이 보유세 기산일인 6월 1일 이전 매물을 내놓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지만, 시장에서는 이미 다주택자 매물들은 나올 만큼 나왔다는 분석이다.
24일 부동산 정보제공 업체 경제만랩이 KB부동산 리브온의 주택가격동향을 살펴본 결과, 지난 2017년 5월 서울 아파트 3.3㎡당 평균 매매가격은 2326만원이었지만, 올 2월에는 4194만원으로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1868만원 상승한 것으로 확인됐다.
서울에서 아파트 3.3㎡당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이 가장 많이 오른 곳은 강남구로 확인됐다. 지난 2017년 5월 강남구 아파트 3.3㎡당 평균 매맷값은 4397만원이었지만, 2월에는 7492만원으로 3095만원 상승했다.
강남구를 포함해 문재인 정부 이래 3.3㎡당 평균 매매가격이 2000만원 이상 오른 자치구는 9곳으로 나타났다.
서초구가 2017년 5월 3831만원에서 2021년 2월 6470만원으로 2639만원 상승해 서울에서 두 번째로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이 높았고, 송파구도 2870만원에서 5348만원으로 2478만원 올라 강남3구의 아파트 가격 상승세가 높았다.
강남구의 압도적인 아파트 가격 상승세는 실거래가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국토교통부의 실거래가 통계시스템에 따르면 서울 강남구 도곡동에 위치한 '도곡1차 아이파크' 전용면적 84.122㎡는 지난 2017년 5월 10억4000만원에 거래됐지만, 올해 2월에는 20억원에 실거래가 이뤄지면서 92.3%의 상승률을 기록했다.
강남의 대표적인 재건축 아파트인 대치동 은마아파트도 문재인 정부 이후 10억원 급등했다. 지난 2017년 5월 은마아파트 전용면적 76.79㎡는 12억원에 실거래가 이뤄졌지만, 올해 2월에는 22억원에 거래돼 문재인 정부 이후 83.3% 올랐다.
서울의 주거비 부담이 커지면서 서울시 등록인구는 32년 만에 처음으로 1000만명을 하회했다.
서울시의 지난해 말 기준 인구는 991만1088명으로, 1001만983명을 기록했던 2019년보다 9만9895명 줄었다. 서울 집값이 감당하기 어려운 수준으로 치솟으면서 서울을 떠나 경기 등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는 가구가 늘어난 탓이다.
황한솔 경제만랩 리서치연구원은 "공시지가 상승으로 인해 다주택자에 대한 세 부담이 커지면서 일부 아파트들의 가격 조정이 있을 수 있지만, 강남구의 경우 다른 지역보다 수요가 탄탄하고 증여를 통해 보유한 주택을 처분할 수 있는 만큼 아파트 가격 안정화는 어려울 수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지난해 고공행진하던 집값은 고점을 찍고 잠시 숨고르기에 들어갔지만 매도자와 매수자 간 눈치싸움이 치열한 상황이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서울은 2·4대책 발표 직전인 2월 첫째 주 0.10% 올라 올해 최고 상승률을 기록한 뒤 6주 연속(0.09%→0.08%→0.08%→0.07%→0.07%→0.06%) 상승폭이 줄었다.
그러나 매물이 넉넉하지 않아 당장 집값 하락으로 이어질지는 조금 더 지켜봐야 한다. 강남 다주택자들이 보유세 기산일인 6월 1일 이전 매물을 내놓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지만, 시장에서는 이미 다주택자 매물들은 나올 만큼 나왔다는 분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