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남기, 2·4대책 부동산 현금 보상 "재산권 침해 아냐"
2021-02-17 09:04
"감정평가 후 실시하는 보상, 헌법상 정당보상"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1/02/17/20210217085959413410.jpg)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7일 서울 광화문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15차 부동산시장 점검 관계장관회의'를 주재,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사진=기획재정부]
홍 부총리는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15차 부동산시장 점검 관계장관회의에서 "대책 발표일 이후 부동산 취득 시 우선공급권 미부여는 도심 내 대규모로 주택을 공급하면서도 사업 초기의 단기적 시장 불안을 최소화하기 위한 정책적 고민의 결과였다"고 말했다.
민간 참여를 기반으로 하는 사업의 공급목표 물량이 과도하게 계상됐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홍 부총리는 "공공 직접시행 정비사업의 경우 현행 공공재개발 2020년 공모참여율이 25.9%였던 점을 고려해 5∼25%로 가정하는 등 물량산출의 기반이 되는 시장의 기대참여율은 보수적 관점에서 산출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추후 신속한 사업대상지 지정이 이뤄진다면 실현 가능성에 대한 오해도 불식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공공 직접시행 정비사업으로 민간의 자율성이 제약된다는 우려도 불식시켰다.
홍 부총리는 "기존 조합방식의 재건축·재정비사업 트랙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주택공급 속도를 내기 위해 수익률 가산 및 각종 규제·부담의 면제·완화혜택을 더 제공하는 공공주도 패스트트랙을 제시한 것"이라며 "토지주·조합 등의 의사 반영 또는 선택 폭을 더 넓혀주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사업에 동의한 토지주·조합은 우선공급 약정 계약 이전에 희망하는 아파트 브랜드를 직접 선정해 통지할 수 있고, 민간 건설사는 입주 예정자의 선호를 반영해 설계와 시공을 담당하게 된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