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용차 P플랜 지지부진…산은 “잠재적 투자자 최종결정 못하고 출국”

2021-02-02 16:18
“잠재적 투자가 재입국 여부 예단 어려워”
“누적적자가 1조원 회사에 단순히 돈만으로 회생 어려워” 책임론 반박

최대현 산업은행 부행장이 2일 온라인 간담회에서서 쌍용차 회생 계획 경과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산업은행 제공]



쌍용차 매각이 난항을 겪으며 마지막 회생 기회로 여겨졌던 P플랜(사전 회생 계획)마저 지지부진한 모양새다. 쌍용차의 관련 자료 제출이 늦어지며 잠재적 투자자가 최종 결정을 하지 못한 채 지난달 31일 출국한 것으로 확인됐다.

최대현 산업은행 부행장은 2일 온라인 기자간담회를 열고 “쌍용차의 P플랜 진행을 위해서는 이해관계자 간 사전협의가 필수이나, 현재까지 쌍용차는 구체적인 P플랜 관련 사업계획 또는 회생계획안을 준비 중인 상황”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쌍용차가 P플랜 또는 회생계획안을 제때 제출하지 못하고 있다는 의미다.

P플랜 진행을 위해 잠재적 투자가가 다시 방문할지도 미지수다. 최 부행장은 잠재적 투자자의 재입국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 “P플랜은 채권자, 회사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협의를 통해 이뤄지기 때문에 기간 자체를 예단할 수 없다”고 답했다.

쌍용차 매각을 둘러싼 이해관계자들 간 협상도 제자리걸음이다. 그는 “잠재적투자자와 마힌드라 간 이견이 좁혀지지 않아 더 이상 투자유치협의회를 통한 추가협상 진행은 어려운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쌍용차는 지난해 12월 21일 회생절차 및 '자율 구조조정 지원(ARS)을 신청했다. 이후 쌍용차, 마힌드라, 잠재적투자자, 산업은행 등이 참여하는 투자유치 협의회를 구성해 신규 투자유치 협의를 지속해 왔다.

이날 산업은행은 선제적인 금융지원 주장에 대해서도 선을 그었다. 최 부행장은 “P플랜은 잠재적 투자자의 투자를 전제로 한다. 잠재적 투자자가 의사결정을 하지 못한 현 상황에서 산업은행이 금융지원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단계가 아니다”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쌍용차가 법정관리 또는 파산될 경우 주채권 은행인 산업은행이 책임을 져야 한다는 지적에 대해서도 조목조목 반박했다.

안영규 산업은행 기업금융부문장(부행장)은 “쌍용차 부실화 원인은 대주주의 경영실패에서 기인한 것인데, 왜 산업은행의 책임인지 오히려 반문하고 싶다”고 말했다. 이어 “안타깝지만 최근 10년간 누적적자가 1조원이 넘는 회사에 단순히 돈만 넣는다고 살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지속가능한 사업계획이 반드시 필요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다만 산업은행은 회생계획안 마련을 전제로 쌍용차의 정상화 가능성은 열어뒀다. 최 부행장은 “향후 회생계획안이 마련되면 채권단은 잠재적 투자자의 투자집행, 사업계획의 타당성 등을 확인 후 P플랜 동의여부를 결정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어 “만약 사업계획 타당성 미흡 등으로 P플랜이 불가할 경우, 자동차 산업에 대한 이해가 높은 전략적 투자자(SI)를 유치해 정상화 추진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한편 지난달 12일 이동걸 산업은행 회장이 노조에 요구한 쟁의금지 각서 등과 관련해 쌍용차 노사와 세부 논의는 아직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안 부행장은 “아직까지 쌍용차 노사와 구체적인 논의가 진행되지 않은 상황”이라며 “사업성 판단에 대해서는 객관적인 시각으로 검증할 수 있는 외부 전문기관의 평가를 통해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