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출 절반 이상 뚝...코로나에 계속 휘청거리는 공연계
2021-01-07 17:35
공연계에 불고 있는 찬바람이 좀처럼 멈추지 않고 있다. 코로나19가 1년여 이상 지속 되면서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7일 예술경영지원센터 공연예술통합전산망(KOPIS)에 따르면 2020년 공연계 총 매출은 1732억원으로 집계됐다. 2019년도 2405억원과 비교했을 때 약 38% 감소했다.
KOPIS 전상망 데이터 집계가 의무화 된 2019년 하반기와 2020년 하반기를 비교하면 차이가 더욱 뚜렷이 나타난다.
장르별로 봤을 때 대중들에게 가장 많은 사랑을 받고 있는 뮤지컬 조차도 매우 고전했다.
2020년 7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의 뮤지컬 전체 매출액은 589억511만원으로 전년 동기에 기록한 1408억4266만원에 크게 못 미쳤다. 연극, 클래식, 오페라, 무용 등 순수예술 분야는 더욱 절망스러운 상황이다.
10개 제작사는 PMC프러덕션·신시컴퍼니·클립서비스·오디컴퍼니·인사이트엔터테인먼트·EMK뮤지컬컴퍼니·CJ ENM·에이콤·마스트엔터테인먼트·쇼노트 등이다.
이들은 “좌석 두 칸 띄어앉기 조치는 실질적으로 공연 진행이 불가능한 ‘희망고문’”이라며 “2.5단계의 좌석 두 칸 띄어 앉기 조치를 재고해달라”고 호소했다.
협회에 따르면 대형 뮤지컬 1편의 제작비는 약 30억∼150억 내외다. 공연 중단·취소 등으로 상반기 공연 매출 피해액만 약 1400억원으로 추정된다.
협회는 “뮤지컬 제작에 지출되는 막대한 사전 비용 중 공연장 대관료는 대부분 전액 완납을 원칙으로 하고 있어, 가용 좌석이 변경되더라도 대관료가 변동되지 않는다”며 “민간 공연장의 대관료를 조정할 수 있는 조치나 실질적인 지원이 절실하다”고 호소했다
이어 협회는 “제작사에 한시적 부가세 면제 혜택 등 세금 혜택과 문화체육관광부의 2021년 예산 재원을 활용한 긴급 자금 지원이 필요하다”며 “정부 보증으로 저금리 융자, 투자 활성화를 위한 뮤지컬 펀드와 같은 기금 마련 등의 지원이 위기에 빠진 뮤지컬 산업을 지속시킬 수 있다”고 말했다.
공연 제작자들과 배우, 무대 스태프 등 수많은 종사자들이 끝이 보이지 않는 긴 터널을 지나고 있다. 현장에서 우선적으로 필요한 지원책이 무엇인지에 대한 폭넓은 논의가 필요한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