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국내 車 산업 내수 확대로 선방...내년 경쟁 격화할 듯"
2020-12-23 11:21
2020년 자동차산업 평가 및 내년 전망 발표
올해 연간 내수 191만대…사상 최대치 기록
미국·유럽 경쟁업체 공급 정상화…중국 부상
올해 연간 내수 191만대…사상 최대치 기록
미국·유럽 경쟁업체 공급 정상화…중국 부상
한국자동차산업협회는 23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0년 자동차산업 평가와 2021년 전망'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연간 자동차 생산량은 350만대로 작년보다 11.4%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국가별 생산순위는 5위(1∼10월 기준)로, 인도와 멕시코를 제치며 작년(7위)보다 2계단 상승했다. 미국 시장 점유율(8.6%)도 2011년 전성기 수준(8.9%)으로 끌어올렸다.
국내 판매는 1∼10월 기준으로 6.2% 늘어 주요국 중 유일하게 증가세를 기록했다. 중국(-4.7%), 미국(-17.3%), 일본(-14.7%), 독일(-22.9%), 인도(-32.3%), 프랑스(-25.2%) 등 주요국은 판매 감소세를 보였다.
올해 연간 내수(수입차 포함)는 191만대로 6.1% 증가해 사상 최대치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됐다. 작년 전체 판매 중 39%였던 내수 비중은 상반기 수출 급감 등으로 49%까지 확대됐다.
보고서는 국내 자동차 산업이 위기 상황에도 대부분의 생산시설과 인력 규모를 유지해 3분기부터 회복세를 보였다고 분석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자동차제조업 고용은 1월 37만8000명에서 10월 37만4000명으로 소폭 감소했다. 해외의 경우 다임러 2만명, BMW 1만6000명, GM 1만4000명 등의 인적 구조조정을 추진했다.
부품업계(85개 상장사 기준) 매출액은 상반기에는 전년 대비 16.2% 감소했으나 3분기에는 3.1% 증가했고, 영업이익도 891억원 적자에서 5000억원 이상 흑자로 돌아섰다. 부품업계의 적자 기업수도 49곳에서 26곳으로 줄었다.
다만 내년의 경우 글로벌 자동차 시장의 경쟁이 격화하며 상황이 녹록지 않을 것으로 전망됐다. 코로나19 백신 접종 등으로 글로벌 경기 안정화와 함께 자동차 수요 폭증이 기대되는 가운데, 미국과 유럽 등 경쟁업체의 공급이 정상화될 것으로 보여 생산국 순위도 현재 5위에서 6위나 7위로 하락할 가능성이 상존한다고 보고서는 전했다.
중국의 경우 현재 5000만대의 생산 규모에 내수는 2500만대로 해외 시장 진출 확대가 불가피한 상태다. 특히 전기동력차의 글로벌 시장 침투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작년 세계 전기차(배터리식+플러그인하이브리드)의 50.5%는 중국에서 판매됐다. 지리와 BYD 등은 내년에 전기차 플랫폼을 양산하거나 공개할 예정이다. 테슬라 상하이공장과 BMW 선양공장 등 외자계 업체 뿐 아니라 로컬업체도 전기차 수출을 추진하고 있다.
반면 국내 시장은 경제성장 회복세(GDP 2.8%)에도 각종 규제 강화와 가계부채 증가·소득 감소 등 민간소비 감소세, 자동차 내수활성화 정책 축소 등으로 회복에 제약이 있을 것으로 보고서는 예상했다.
이에 따라 내년 자동차 내수는 올해보다 4.4% 감소한 182만대에 그칠 것으로 내다봤다. 올해는 볼륨 모델(많이 팔리는 차종)이 다수 출시된 반면, 내년에는 고급차·전기차 출시 중심인 것도 내수 감소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봤다.
내년 수출은 기저효과와 국산차 경쟁력 제고 등으로 올해보다 22.9% 증가한 234만대로 전망된다. 고가차의 비중 확대로 수출액은 24.7% 늘어날 전망이다. 생산 역시 수출 증가로 10.3% 증가한 386만대로 전망된다. 다만 수출과 생산 모두 2019년 수준(수출 240만대, 생산 395만대)에는 못 미칠 것이라고 보고서는 예상했다.
특히 기업의 투자 여력(완성차업계 기준)이 올해 7조원에서 내년 6조1000억원으로 위축돼 미래차 산업에 대한 대비도 어려워지고 있다고 보고서는 전했다.
정만기 자동차산업협회장은 "올해는 코로나19 상황에서 정부와 업계가 적시에 대응해 위기를 잘 넘겼지만, 내년에는 글로벌 경쟁이 심화하는 가운데 고비용·저효율 구조에 더해 국내 규제 강화와 노사 갈등, 환율하락 추세가 지속될 경우 기업의 생산경쟁력이 더욱 악화될 수 있다"며 "내년도 수출시장 본격 회복시 대비 생산유연성 제고를 위한 노사관계 안정화와 노동법제 개선, 국내 내수시장 유지를 위한 개별소비세 인하 확대, 노후차 교체지원 시행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과도한 환경규제에 대해 업계가 달성 가능한 수준으로 기준을 완화하고, 미래산업 재편 대응을 위한 전기동력차 보조금·세제혜택 지속을 지속하고, 부품업체 산업전환 지원 등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