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이 주는 공익가치만 220조원...탄소 줄이고, 일자리 창출도

2020-12-22 13:48
산림청, 최근까지 가꾼 숲 410만㏊...국민 1인당 연간 428만원 혜택
11월은 국민 참여 ‘숲 가꾸기 기간’...전체 예산의 10% 이상 숲 가꾸기

전북 무주군 적상면에서 열린 '2020년 숲가꾸기 1일 체험 행사'에서 산림청, 무주군, 임업 분야 단체 참가자들이 덩굴 제거 작업을 하고 있다.[사진=산림청]

“산림 공익가치 연간 221조원, 국민 1인당 428만원 혜택.” ‘숲 가꾸기’를 통해 우리나라가 매년 얻는 가치를 추산한 수치다.

이산화탄소 등 온실가스 흡수 기능과 함께 산사태 방지, 산림 경관과 산림 휴양 그리고 일자리 창출 등 숲을 통해 우리나라 국민이 누리는 혜택은 숲 조성 비용과 비교할 수 없을 만큼 막대하다. 지구온난화, 잦은 태풍과 집중호우 등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데도 숲 가꾸기 효과와 그로 인한 혜택은 앞으로 상상할 수 없을 만큼 커질 것이란 전망이다.

산림청이 ‘나무 심기’에서 ‘숲 가꾸기’로 산림의 패러다임을 바꾼 이유기도 하다.
 

산림의 공익적 가치[자료=산림청]

◇최근까지 가꾼 숲 410만㏊...국민 1인당 연간 428만원 혜택

과거 정부는 국민을 대상으로 대대적인 나무심기 캠페인을 벌였다. 황폐했던 벌거숭이 산을 푸른 숲으로 바꾸기 위해서였다. 하지만 무작정 빨리 자랄 수 있는 나무만 심는 속성식 정책으로 임목이 주는 경제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이후 산림청은 산림의 공익·경제적 가치를 높이는 데 중점을 두고 지난 1998년부터 정책 방향을 ‘나무 심기’에서 ‘숲 가꾸기’로 바꿨다.

숲 가꾸기는 단지 나무를 심고 가꾸는 것에 머무르지 않는다. 어린 나무를 키워 가지치기, 솎아베기 작업을 통해 천연림, 인공조림지 등 나무가 잘 자랄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까지 포함한다. 벌채를 통해 경제성 높은 나무로 바꾸는 경제림 전환도 숲 가꾸기 정책 중 하나다.

산림청에 따르면 지난 1998년부터 현재까지 410만ha의 숲을 가꿨다. 지속적인 숲 가꾸기로 ha당 임목 축적이 1998년 이전보다 3배가량 증가했다.

유엔식량농업기구(FAO) 통계에 따르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7개국과 세계 주요 20개국(G20)을 대상으로 산림경영 성과를 비교한 결과, 우리나라는 최근 25년간(1990∼2015년) 임목 축적 증가율 1위를 차지했다.

우리나라 산림의 공익적 가치도 숲 가꾸기 정책 이전인 1987년 17조7000억원에서 2018년 221조2000억원으로 12배 넘게 증가했다. 국민 한 사람 당 연간 428만원의 혜택을 누렸다.

구체적으로 ‘온실가스 흡수·저장’ 75조6000억원(34.2%), 산림경관 28조4000억원(12.8%), 토사유출방지 23조5000억원(10.6%), 산림휴양 18조4000억원(8.3%), 수원 함양 18조3000억원(8.3%) 등의 효과를 얻은 것으로 추산됐다.

숲 가꾸기 정책은 일자리 창출에도 기여했다.

1990년대 말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 당시 숲 가꾸기로 대규모 일자리를 창출해 경제 회복을 도왔다. 현재는 연간 1만1000명의 임업 기능인과 취약계층에 일자리를 제공하고 있다.

산불예방과 산사태 방지, 숲이 머금고 있는 수자원을 통한 가뭄 해결, 맑은 물과 아름다운 경관 등 숲이 주는 다양한 공익적 기능으로 국민 삶의 질도 개선됐다는 평가다.
 

산림자원 선순환 체계도[자료=산림청]

◇11월은 국민 참여 ‘숲 가꾸기 기간’...전체 예산의 10% 이상 숲 가꾸기

숲 가꾸기 사업은 무엇보다 국민들의 자발적인 참여가 중요하다.

산림청은 지난 1977년 육림의 날을 지정한 이후 1995년부터 숲 가꾸기에 적기인 가을철 11월 한 달을 국민 참여 숲 가꾸기 기간으로 정해 운영 중이다.

올해도 11월 숲 가꾸기 기간 동안 진행된 체험행사에 전국 153개 기관, 4000여명이 참여했다. 참여자들은 어린 나무를 심고, 나무가 크게 자랄 수 있도록 나이와 상태에 따라 풀베기, 덩굴제거, 솎아베기 등의 작업을 함께 했다.
 

숲가꾸기 사업[자료=산림청]

산림청은 앞으로 숲의 경제성과 함께 기후변화에 대비, 이산화탄소 흡수 기능을 높이는 쪽으로 지속적인 숲 가꾸기를 할 방침이다.

리기다소나무 등 과거 산림녹화를 위해 심었던 나무는 벌채를 하고, 낙엽송 등 경제성 높은 수종으로 바꿀 계획이다. 산림자원 관련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는 ‘디지털 산림경영 시스템’도 구축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산림청은 매년 전체 예산의 10%가 넘는 2200억원가량을 숲 가꾸기 관련 사업에 써 왔다.

내년도 예산 2조5282억원 중 산불 피해 저감을 위해 8000㏊의 산불 예방 숲 가꾸기 사업과 350㏊ 내화 수림대 조성에 필요한 예산을 새로 편성했다. 탄소흡수 기능을 위한 15만7000㏊ 숲 가꾸기 사업도 계속 추진하고, 미세먼지 차단 숲 조성도 기존 93㏊에서 155.8㏊로 확대했다.

산불·산사태·병해충 등 산림재해 발생 시 긴급 복구 등에도 기존 예산 300억원에서 내년 1800억원으로 늘려 잡았다.

박종호 산림청장은 “숲은 나무를 심는 것 이상으로 건강하게 가꾸는 것이 중요하다”며 “탄소중립의 주요 수단인 산림을 잘 가꿔 산림 재해로부터 국민을 보호하고, 경제림 조성을 통해 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