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 코로나 시대, 미·중 간 기축통화 전략경쟁이 화두"

2020-12-01 10:51
고려대 정경대, 지난달 30일 세미나 개최
'포스트 코로나 시대 한국 사회 변화·대응'
안미경중 전략, 유효하지 않을 거란 전망도

지난달 30일 서울 성북구 고려대에서 '포스트 코로나 시대 우리 사회의 변화와 대응: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국제개발과 금융'을 주제로 개최된 세미나 모습. 이신화 고려대 정치외교학과 교수(가운데)가 사회를 맡아 진행하고 있다. [사진=세미나 화면 캡처]

 
글로벌 기축통화를 둘러싼 미·중 전략적 경쟁이 포스트19 코로나(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시대의 화두가 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1일 고려대 정경대학에 따르면 이용욱 고려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전날 서울 성북구 고려대에서 '포스트 코로나 시대 우리 사회의 변화와 대응: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국제개발과 금융'을 주제로 열린 세미나에서 이같이 밝혔다.

중국은 그간 자국 통화인 위안화를 달러와 유사한 수준의 기축통화로 만들겠다는 포부를 공공연히 드러내 왔다. 이런 미·중 간 국제 기축통화 주도권 경쟁이 코로나19 극복 이후 더욱 심화될 것이라는 뜻이다. 

이용욱 교수는 미·중 간 통화 전략경쟁의 성패를 좌우할 게임체인저로는 △ 달러의 유동성 과잉 △ 패트로달러(석유달러) 체제 균열 △ 중국의 디지털 위안화 출시 △ 중국 국내 금융시장 개방 등을 꼽았다.

패트로달러 체제 균열의 경우 지난 7월 영국 정유사 '브리티시페트롤리엄(BP)'이 중국에 이라크산 원유 300만 배럴을 인도하며 달러가 아닌 위안화를 받아 주목을 받은 바 있다.

원유를 위안화로 거래한 최초의 사례가 나오며 패트로달러 체제 균열이 뒤따르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제기된 것이다.

중국은 달러화 패권을 무너뜨리기 위해 지난 2014년부터 디지털 화폐 개발에도 힘쓰고 있다. 디지털 위안화가 출시되면 중국은 세계 1위 수출 대국으로서 해외 교역 과정에서도 디지털 위안화로 결제하는 비중을 높이는 방식 등 디지털 위안화의 전 세계 통용을 서두를 것으로 보인다.

 

지난달 30일 서울 성북구 고려대에서 '포스트 코로나 시대 우리 사회의 변화와 대응: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국제개발과 금융'을 주제로 개최된 세미나 모습. 이신화 고려대 정치외교학과 교수(가운데)가 사회를 맡아 진행하고 있다. [사진=고려대 정경대학]


이날 세미나 사회를 맡은 이신화 고려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무역 불균형 이슈에서 불거져 기술 갈등으로 번진 미·중 패권 경쟁이 코로나19를 겪으며 책임 공방의 신뢰 문제 및 이념 문제로 비화되고 있다"고 말했다.

내년 1월 20일 정부 출범을 앞둔 조 바이든 차기 미국 대통령 당선인에 대해서는 "중국 문제에서만큼은 전임자(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입장과 대체로 일치할 것"이라고 판단했다.

그러면서 이신화 교수는 "한국의 경우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 방어체계) 사태 때에도 경험했듯 '안보는 미국, 경제는 중국'이라는 '안미경중(安美經中)'의 중간자적 전략은 더 이상 유효하지 않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또 "더욱이 경제 문제가 점점 안보와 밀접한 연관을 이루면서 한국의 어려움은 더욱 커질 것"이라며 "정권과 정파를 뛰어넘는 중장기적 국익의 관점에서 강대국 사이 서바이벌(생존) 전략을 짜는 동시에 적극적인 국제 개발과 국제 협력을 구사하는 정치리더십과 선도중견국 정책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이와 관련, 강성진 고려대 경제학과 교수 역시 이번 코로나19 확산이 기후변화·에너지 문제와 같은 국제사회가 해결해야 할 공동 과제라고 판단하며 "구체적 국제협력방안은 선진국의 개발도상국에 대한 기술 및 금융지원과 인적역량 강화 차원에서 이뤄져야 한다"고 조언했다.

최진욱 고려대 행정학과 교수 또한 코로나19 상황에서 국내 개도국 공공부문 원조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 지속적인 거버넌스 △ 공공부문 원조의 질적·양적 확대 △ 국가 외교정책과 원조 정책 간 정합성 강화 △ 원조 분절화 문제 해소 등이 필요하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