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주도 구조조정의 명암③] 삼성의 자동차 희망 꺾은 결정…현대차는 날았다
2020-11-24 06:40
삼성·대우의 치열한 물밑 경쟁 뚫고 이뤄낸 현대차의 뚝심
본격 성장 터 닦은 현대차…삼성차·대우차는 쇠락의 길로
본격 성장 터 닦은 현대차…삼성차·대우차는 쇠락의 길로
[데일리동방] 22년 전 11월, 우리나라 자동차업계 역사에 길이 남을 사건이 있었다. 1998년 11월 5일, 산업은행을 비롯한 채권단의 승인으로 현대자동차의 기아자동차 인수가 확정됐다. 이날 채권단은 만장일치로 결정했지만, 기아자동차가 현대차에 인수되기까지는 많은 우여곡절이 있었다.
1997년 초, 재계 서열 8위였던 기아그룹은 한보 사태 이후 발생한 금융경색과 경제위기로 어려움을 겪기 시작했다. 여기에 내부적 우환이 겹치면서 같은 해 7월 15일, 기아의 주거래은행이던 제일은행이 기아자동차를 포함한 18개사를 부도방지협약 대상기업으로 선정했다.
이후 기아는 사장단과 임원진의 일괄 사표 제출 등 강도 높은 자구 계획을 세웠지만, 채권단은 김선홍 당시 회장의 사퇴를 요구하는 등 더 높은 수준의 자구안을 요구했다. 결국 97년 9월 29일 협약 적용 만료일까지 회생에 실패한 기아는 10월 22일 법정관리에 들어갔다.
이후 기아의 키를 잡은 사람은 진념 전 노동부 장관이었다. 재산보전관리인으로 임명된 진념 회장은 무보수로 일하며 기아 살리기에 총력을 다했다. 취임 후 과감한 인사와 구조조정을 단행했고, 그룹경영위원회를 발족해 방만 경영이 되풀이되지 않도록 노력했다.
1998년 8월 열린 기아자동차 입찰에는 현대·삼성·대우·포드 등 4개사가 응찰했다. 하지만 모두 입찰 자격 요건을 맞추지 못해 유찰됐다.
기아차는 현대에 인수된 후 1년 만에 판매목표와 매출을 초과 달성하며 경영정상화를 이뤘다. 당시 전문가들은 기아차의 회생이 곧 국제통화기금(IMF) 사태로 허덕이던 한국경제의 회생이라고 평가했다.
반면 삼성르노자동차는 기아차 인수전에서 패한 후 김대중 정부 주도로 대우차와 빅딜을 추진하던 중 법정관리에 들어갔다. 이후 르노에 매각되면서 삼성은 자동차 산업에서 완전히 손을 뗐다.
기아자동차의 매각은 자동차 업계와 우리 경제에 큰 사건이었을 뿐만 아니라, 정부와 산업은행의 기업 구조조정 역사에 큰 성공 사례로 남았다. 채권단은 당시 재계 8위였던 대기업과의 기 싸움에 지지 않고 강력한 자구안을 요구했다. 이를 통해 기아자동차는 깊이 박혀있던 방만 경영의 뿌리를 뽑아내고 빠른 속도로 정상화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