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흥국 경제전망] ② 재정·통화정책 한계… 지정학적 긴장도 불안요인
2020-11-18 08:00
신흥국 경제의 리스크 요인으로 △재정 리스크 △통화정책 한계 △지정학적 긴장 및 정치불안 등이 거론된다.
국제금융센터는 '2021년 신흥국 경제전망 및 리스크요인 점검' 보고서에서 "신흥국의 정부부채는 2019년 대비 12%포인트 이상 확대될 전망으로 이자부담 및 외화표시 부채 비중도 동반 확대됐다"며 "재정 리스크는 코로나19로 인한 일시적 경기 충격과 달리 신흥국 경제에 상당 기간 하방위험으로 작용할 소지가 있다"고 밝혔다.
실제로 IMF에 따르면 올해 브라질의 적자폭은 GDP 대비 16.8% 증가했다. 남아공(14.0%), 인도(13.1%), 사우디(10.6%)의 적자폭이 크게 확대된 가운데 내년에도 적자 기조가 심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무디스에 따르면 팬데믹 이후 재정 우려 등으로 전체 신흥국 중 '부정적' 등급전망 비율이 2019년 20%에서 2020년에는 28%로 증가했다.
신흥국은 통화정책에도 한계를 가질 수 밖에 없다. 신흥국들도 전례없는 양적완화(QE)를 시행하고 있으나 자본 유출과 인플레이션 압력이 상승하는 리스크로 지속가능성에는 제한이 있다.
대다수 신흥국의 정책금리는 사상 최저수준에 도달해 있다. 폴란드, 인도네시아 등의 중앙은행은 3월 이후 금융시장 안정 복적의 양적완화를 단행하고 국채매입 비중을 확대했다.
이런 상황에서 내년에 백신과 치료제 상용화가 지연되거나 물가 상승세가 확대될 경우 통화정책의 한계로 추가 경기부양 여력은 크게 축소될 가능성이 크다.
또한 아직까지 브라질과 인도를 제외하고는 인플레 압력이 나타나고 있지 않지만, 경기회복세와 물가상승이 동반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반대로 경기부진이 장기화되면 과도한 양적완화로 인한 스태그플레이션과 금융불안이 유발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미국과 중국의 갈등, 터키와 유럽연합 간의 갈등 등 지정학적 긴장도 걸림돌이다. 미국의 정권교체로 관세전쟁은 다소 완화될 수 있으나 남중국해, 대만을 둘러싼 패권 분쟁은 지속될 여지가 크다.
뿐만 아니라 인도와 파키스탄의 영토 분쟁, 인도와 중국 간 충돌 지속 우려, 중동에서의 분쟁, 중남미의 정치불안도 신흥국의 경기 회복에 긍정적이지는 않다.
코로나19 상황에서 지정학적 긴장감은 다소 완화됐으나, 내년에 재차 고조될 경우 투자 위축, 국제유가 불안 등을 야기할 수 있다. 일부 국가는 백신과 치료제 보급이 늦어질 경우 소요 사태로 이어질 가능성도 상당하다.
박미정 국제금융센터 부전문위원은 "내년의 경기 반등에도 불구하고 팬데믹 불확실성과 내재적 취약성이 지속돼 위기 이전 수준의 성장 동력을 회복하기는 역부족일 것"이라고 진단했다.
박 부전문위원은 "코로나19를 기점으로 신흥국 경제가 더 이상 선진국에 비해 월등한 우위를 점하지 못하면서 글로벌 성장 견인력이 약해질 소지가 있다"며 "기존 취약 신흥국 이외에도 브라질, 인도 등 경제규모가 큰 국가들의 성장세가 예년에 미치지 못하고 경제 펀더멘털에 대한 우려가 부각될 가능성도 주목해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