옵티머스 자금은 김재현의 쌈짓돈… 부동산PF투자는 절반 이상 사기당해

2020-11-11 16:57

[사진=아주경제DB]



“자금 중 일부는 김재현 옵티머스자산운용 대표의 선물 투자와 이자 비용으로 많이 들어갔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투자자금과 관련해 사기를 당한 것도 있다.”

최원우 금융감독원 자산운용검사국장은 11일 서울 여의도 금감원 본원에서 출입기자단과 만나 삼일회계법인의 옵티머스 펀드 자금 실사 결과에 대해 이같이 말했다. 최 국장은 “진행되고 있는 PF가 절반도 안된다. 미진행되고 있는 것들은 관련된 인허가를 못받은 것”이라며 “채권도 본인과 관계된 곳에 투자한 게 있어 라임에 비해 회수율이 많이 적다”라고 말했다.

이어 최 국장은 “김재현 대표가 개인 투자로 인한 손실을 채우려면 단기간에 수익이 나오는 것을 노렸을 것”이라며 “이동열(옵티머스자산운용 2대 주주) 대표가 건설업을 한 만큼 PF 투자를 했지만 결과는 좋지 못했다”라고 설명했다. 또 채권투자에 대해서는 “일부는 상장회사 전환사채(CB) 등 메자닌으로 갔다”라고 말했다.

금감원은 이날 삼일회계법인의 옵티머스운용 실사결과를 발표하고, 펀드 예상회수율 추정치를 전체(5146억원) 중 최소 7.8%에서 최대 15.2% 수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회수 예상 금액은 최소 401억원에서 최대 783억원에 그친다.

여기에 삼일회계법인이 펀드 자금 흐름, 서류 확인 등으로 파악한 식별 가능한 최종 투자처는 63개며 금액은 3515억원이다. 전체 펀드 규모(5146억원) 대비 약 1300억원이 사실상 공중분해된 셈이다. 최 국장은 “김재현 관련 인물들이 사용한 것으로 보이며 검찰 수사 과정이라 자세히 말하긴 어렵다”라고 말했다.

올해 초 금감원의 사모펀드 운영실태 점검 당시 옵티머스운용의 사기행각을 발견하지 못한 것과 관련해 최 국장은 “올해 1월 29일 52개 운용사를 대상으로 사모펀드 운영 실태 점검에 나섰다”며 “라임자산운용 사건이 터진 만큼 라임과 유사한 사례가 있을 수 있으니 그걸 찾아보자는 차원에서 시작돼 시작점이 다르다”라고 말했다.

그는 “라임 특성이 복층구조로 이뤄져 있고, 큰 총수익스와프(TRS) 규모, 높은 비시장성 자산 비중, 개방형으로 팔고 폐쇄형으로 운용하는 등의 여러 기준을 맞춰보니 총 52개의 운용사가 추려졌다”며 “이 기준에 옵티머스는 복층도 아니었고, 수익률도 3.5% 낮아 사모사채에 집중 투자한 것 외에 걸릴 만한 게 없었다”라고 설명했다. 다만 펀드의 미스매칭 문제가 발생할 것으로 보이는 10개 운용사 중에 옵티머스가 포함됐으며 코로나19가 확산되면서 직접 검사보다 서면검사로 나섰다는 게 최 국장의 설명이다.

이어 최 국장은 “서면검사 당시 자료를 보니 2017년 이후에 설정펀드 내용 매출채권 양수도 계약서 확인하는 과정에서 납득이 안되는 것들이 있었다”며 “공공기관 매출채권을 옵티머스만 갖고 있는지와 사모인데 팔릴지 여부였다”라고 말했다.

그는 “서면검사를 하면서 사모사채가 공공기관 매출채권이 담보돼 있고, NH투자증권이 2019년부터 집중적으로 판매하는 등 판매 창구가 왜 일원화 됐는지도 의아하다”며 “공공기관 매출채권이 담보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서류 제출 과정을 거쳤고, 운용사가 위조서류를 제출하지 않는데, 그때는 위조 서류라는 점을 의심하지 못했다”라고 말했다.

제2의 라임과 옵티머스운용 사태가 벌어질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해 그는 “자본시장법 위반 소지는 발견됐지만, 옵티머스 만큼 사기는 아니”라면서 “이 회사 중에서 대규모 환매 중단이 발생할 것 같지는 않다”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