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신이 시장의 구세주는 아냐"…美 재정지원 여전히 절실

2020-11-11 15:12

화이자 백신 개발 소식이 전해지면서 미국을 비롯한 전세계 증시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코로나19로 타격입은 경제가 회복될 수 있다는 기대감 때문이다. 그러나 미국을 비롯해 코로나19 피해가 큰 국가들은 여전히 정부의 적극적인 재정지원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사진=로이터·연합뉴스]


화이자와 바이오엔테크는 9일(이하 현지시간) 개발해왔던 백신 물질이 90%이상 효과를 냈다고 발표했다. 백신 소식과 예상을 뛰어넘는 미국 고용지표는 시장에 장밋빛 기대감을 키웠다. 그러나 노던 트러스트의 칼 탄넨바움 수석이코노미스트는 여전히 경기 부양책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10일 CNBC와의 인터뷰에 나선 탄넨바움 이코노미스트는 "지난 1월이래로 실직한 이들이 미국에서만 1000만명이 넘는다"면서 "이들이 모두 다시 일자리를 되찾기까지는 여전히 오랜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이때까지 어느 정도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게다가 미국에서는 중앙과 지방 정부의 수익이 줄어들면서 재정 상태가 점점 악화하고 있다. 이들이 서비스와 인력 감축에 나서면서 경제 활동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면서 "미국 경제는 이미 회복의 모멘텀을 잃고 있다는 것 같다. 만약 백신만 기다리다가는 위험이 커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백신이 모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구세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코로나19 백신이 모든 이들에게 제공될 때까지는 수개월이 넘는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미국 부양책은 내년 1월 새 대통령 취임식 전까지는 나오기 힘들다는 게 많은 경제학자들의 전망이다. 경제학자들뿐만 아니라 기업과 시장에서도 부양책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나온다. 토마스 도노휴 미국 상공회의소 회장은 9일 의회에 1월 취임전에 부양책을 통과시켜야한다고 주장했다. 도노휴 회장은 백신의 경제적 효과는 수개월이 지나서야 체감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