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단지의 변신] ① 스마트 산단 7곳 K경제의 주역
2020-09-24 08:00
기존 산업단지 노후화 등 개선 필요
산단 7곳 선별 그린+스마트+디지털 결합
산단 7곳 선별 그린+스마트+디지털 결합
정부가 내수경제 활성화와 미래 먹거리 개발을 위해 추진 중인 한국판 뉴딜 사업의 효율적 추진을 위해 국가산업단지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분위기다. 기존에 지정된 국가산업단지를 좀 더 스마트화하고 친환경의 색채를 더해 정책 기조에 발을 맞춘다는 계산이다.
국가산업단지는 '산업입지 및 개발에 관한 법률'에 의해 국토교통부 장관이 지정하는 공업단지다. 목적은 국가기간산업 및 첨단과학기술산업 등을 육성하기 위해서다.
우리나라의 산업단지 개발은 1960년대 초엽부터 시작됐다. 울산공업지구와 한국수출산업단지의 개발이 시작점이다. 공업화 초기 단계에서 빠르게 산업을 육성시키고 수출을 늘리기 위한 목적으로 산업단지가 조성됐다.
단지를 구성해 산업이 집적화되면 공장설립을 위한 비용이 절감되고 안정적인 공장 운영도 가능해진다. 또한, 정부의 입장에서는 국토의 효율적 관리와 이용을 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기업들이 모여있으면서 연구·개발(R&D) 등 시너지 효과의 기대도 가능하다.
2018년 기준 산업단지는 우리나라 제조업 생산의 67.3%, 수출의 67%, 고용의 49%를 차지하고 있다.
다만 현재 운영하는 국가산업단지들은 노후화가 심하고 특히 코로나19의 위기로 가동률이 더욱 떨어지는 현상을 보인다. 아울러 주력산업이 침체한 상황에서 첨단 업종으로의 고도화 및 전환 등 고부가가치화가 필요한 시점에 다다랐다.
이에 정부는 한국판 뉴딜추진에 있어 우리 경제발전의 중추이자 주력산업과 일자리 거점인 산업단지의 역할이 여느 때보다 중요하다고 판단, 스마트 산단 전략을 꺼내 들었다. 궁극적으로는 디지털과 그린 뉴딜까지 융합시키겠다는 계획이다.
산단의 경쟁력 회복은 앞서 한국판 뉴딜 10대 대표과제 중 7번째 항목인 스마트그린산단 구축에도 포함돼 있다.
우선 디지털과 스마트를 추가하기 위해 경남창원(일반기계), 반월시화(뿌리), 인천남동(기계전기), 경북구미(전기전자), 광주첨단(자동차), 대구성서(섬유), 전남여수(정밀화학) 등 7개의 산단을 선별했다.
정부는 우선 7개 산단에 대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친환경 첨단산업 거점으로 전환하고자 목표를 잡았다. 단기적으로 스마트그린 산단을 2022년 10개 2025년까지는 15개로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이후부터는 산업단지의 지역연계 및 고도화를 진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