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전용 보조배터리 분리배출‧재활용 모델 만든다

2020-09-06 12:00
한국환경공단, 충전용 보조배터리 분리배출·재활용 사업 참여

환경 폐기물을 줄이고 전기산업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충전용 보조배터리 분리배출 및 재활용 모델이 구현된다. 이를 통해 지속가능한 순환경제 실현에도 한 발짝 더 다가설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충전용 보조배터리(리튬계 2차전지 폐기물) 발생량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면서, 정부는 7일부터 4개월간 관련 재활용 시범사업을 추진한다. 여기에는 창원시 등 전국 10개 지방자치단체와 한국환경공단, (사)한국전지재활용협회, 폐2차전지 재활용업체가 참여한다.

참여하는 지자체는 경상남도(창원시‧양산시‧김해시), 경상북도(구미시), 충청북도(청주시), 대구광역시(달서구‧북구), 부산광역시(수영구), 대전광역시(유성구‧중구) 등이다.

그동안 충전용 보조배터리는 생산자의 회수·재활용 의무, 재활용 방법과 기준 등이 법령에 명시돼 있지 않아 대부분 단순폐기되거나 일부만 회수‧재활용됐다. 
 

생산자책임재활용제도 시스템[인포그래픽=한국환경공단 제공]


특히, 지난 2월 한국환경공단이 수행한 2차전지 생산자책임재활용제도 도입 및 전지류 재활용제도 개선을 위한 연구용역에 따르면, 리튬계 2차전지 폐기물 발생량은 점차 증가할 것으로 추정됐다. 실제 2019년 809t에서 2020년 817t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됐다. 이후 2025년 874t, 2030년 913t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측됐다.

리튬계 2차전지 폐기물에는 은, 리튬 등 유가금속이 포함돼 있는 만큼 적정 회수 체계 등이 갖추어질 경우 재활용량 및 재활용률이 높아질 수 있다. 연구용역에서도 재활용량은 2019년 34t에서 2020년 106t, 2025년 245t, 2030년 402t 등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됐다. 재활용률도 2019년 4.2%, 2020년 13.0%, 2025년 28.0%, 2030년 44.0%로 높아질 것으로 전망됐다.

이번 시범사업은 이런 리튬계 2차전지 폐기물 발생량 증가 추세를 반영해 재활용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시행하는 것이다.

먼저, 대상 지역주민들은 기존 폐건전지 분리수거함에 충전용 보조배터리도 함께 배출한다. 이후 지자체별 수거업체 등이 폐건전지와 충전용 보조배터리를 집하장으로 운반해 1차 선별‧보관한다.

집하장에 보관된 폐전지류는 권역별 입고량에 따라 정기적으로 (사)한국전지재활용협회를 통한 권역수거 또는 재활용업체에 의해 직접 수거된다.

폐2차전지 재활용업체는 충전용 보조배터리를 현 생산자책임재활용제도(EPR) 대상 품목과 별도로 2차 선별해 재활용한다. 

이번 시범사업을 통해 충전용 보조배터리의 올바른 분리배출 방법을 알리고, 시범사업 결과를 토대로 회수‧재활용 제도 개선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충전용 보조배터리는 플라스틱처럼 보이는 외형으로 폐플라스틱 분리수거함에 잘못 버려지기도 하며, 운반 과정에서 충격이 가해질 경우 화재 사고 발생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분리배출 시 폐전지 분리수거함에 배출하도록 유도하고, 이후의 운반 과정에서 충격이 가해지지 않도록 안전하게 운반할 방안 마련도 병행할 예정이다.

한국환경공단 관계자는 "충전용 보조배터리를 회수해서 재활용하게 될 경우, 그동안 환경에 줬던 부담을 줄일 수 있을 것"이라며 "재활용을 통해 경제 효율성도 높이는 등 일석이조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