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클라우드 전환 기술 문제 풀어야…아마존·MS 대항할 해법도 찾을까
2020-08-18 00:10
공공부문-국내 보안인증 업체 논의…다국적 기업 참여 없을 듯
공공·민간 넘나드는 '하이브리드·멀티 클라우드' 구현방안 모색
클라우드 플랫폼 표준화·호환성 확보에 '파스-타' 활용 가능성
공공·민간 넘나드는 '하이브리드·멀티 클라우드' 구현방안 모색
클라우드 플랫폼 표준화·호환성 확보에 '파스-타' 활용 가능성
정부는 민·관 클라우드센터 협의체를 통해 민간 사업자들의 클라우드를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등 공공기관 클라우드와 연계해 활용하는 기술적인 방안을 협의·도출한다. 공공과 민간의 클라우드를 자유자재로 옮기고 필요시 여러 자원을 함께 사용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멀티 클라우드 환경을 구축한다는 구상이다.
민·관 협의체에는 가비아, 더존비즈온, 삼성SDS, 스마일서브, 네이버비즈니스플랫폼(NBP), NHN, LG CNS, LG헬로비전, KT, 코스콤 등 10개사 실무자들이 참여한다. 이들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클라우드 서비스 보안 인증(CSAP)을 받은 클라우드 서비스형 인프라(IaaS) 제공 업체들이라는 공통점이 있다.
하승철 행정안전부 디지털정부기반과장은 "클라우드발전법 등 관련 규정에 따라 공공·행정기관은 CSAP를 받은 민간 클라우드 서비스만 사용할 수 있고 인증을 안 받으면 쓸 수 없다"며 "그런 점에서 클라우드 서비스 기업 국적이 국내외 상관 없이 CSAP를 받은 기업들과의 협의체라고 봐야 한다"고 말했다.
민·관 협의체에는 가비아, 더존비즈온, 삼성SDS, 스마일서브, 네이버비즈니스플랫폼(NBP), NHN, LG CNS, LG헬로비전, KT, 코스콤 등 10개사 실무자들이 참여한다. 이들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클라우드 서비스 보안 인증(CSAP)을 받은 클라우드 서비스형 인프라(IaaS) 제공 업체들이라는 공통점이 있다.
하승철 행정안전부 디지털정부기반과장은 "클라우드발전법 등 관련 규정에 따라 공공·행정기관은 CSAP를 받은 민간 클라우드 서비스만 사용할 수 있고 인증을 안 받으면 쓸 수 없다"며 "그런 점에서 클라우드 서비스 기업 국적이 국내외 상관 없이 CSAP를 받은 기업들과의 협의체라고 봐야 한다"고 말했다.
아마존웹서비스(AWS), 마이크로소프트(MS), 구글클라우드 등 보안인증을 받지 않은 다국적 클라우드 기업들의 경우 협의체에 참여할 수 없다. 공공부문이 전환할 수 있는 민간 클라우드의 요건에 CSAP 취득이 포함돼 있지만 이들 가운데 CSAP를 취득한 사례가 없을 뿐이다.
정부는 다국적 클라우드 서비스를 명확하게 배제하진 않았지만, 공공부문에 클라우드 서비스를 공급할 수 없는 기업이 민·관 협의체에 참여하는 것은 의미가 없다고 판단하고 있다. CSAP를 취득한 국내 기업들에 공공부문 클라우드 전환에 따른 수요 공략의 기회가 더 많이 주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의 공공부문 클라우드 전면 전환 정책은 최근 디지털 정부혁신 추진 의지가 높아진 가운데 발표됐다. 코로나19 사태 이후 정부 차원에서 긴급재난지원금, 원격교육, 마스크 판매 관련 앱 서비스 등 안정성·신속성을 갖춰 전 국민에게 제공해야 하는 비대면 디지털 공공서비스 수요가 커질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정부는 공공 클라우드에서 돌아가는 디지털 공공서비스가 긴급한 수요를 충당하지 못할 경우, 민간 클라우드의 자원을 통해 이에 대응할 수 있는 기술적 방법을 찾겠다는 계획이다. 또, 민간 클라우드에서 돌아가는 전산시스템을 장애나 사고에서 공공 클라우드로 되가져올 방법도 구현한다.
하 과장은 "기술적인 부분만으로도 협의체에서 논의해야 할 사항이 충분히 많고 (2025년까지 단계별로 클라우드 이전을 해 나가면) 그 사이 제도적으로 개선해야 할 사항도 계속 나타날 것"이라면서 "민·관 협력사업 형태의 협력도 필요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