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칼럼]어지럼증, 뇌가 보내는 이상 신호일 수 있다…가톨릭대 인천성모병원 신경과 나승희 교수

2020-07-23 10:01
성인 4명 중 1명 ‘어지럼증’ 경험… 19년 95만명 진료받아

가톨릭대 인천성모병원 신경과 나승희 교수[사진=인천성모병원]



어지럼증은 일상에서 누구나 한 번쯤은 겪는 증상이다. 성인 인구의 25%가 한 번은 경험해봤고 이 중 절반은 어지럼증으로 신체활동이나 일상생활에 어려움을 겪는다는 통계도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어지럼증은 일시적인 증상으로 나타났다 진정되기 때문에 대수롭지 않게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어지럼증을 가볍게 여겨서는 안 된다. 어지럼증이 지속적으로 반복된다면 반드시 원인을 찾아야 한다. 뇌가 보내는 이상 신호일 수 있기 때문이다.

▶어지럼증, 일상생활 위협한다면 조기에 병원 찾아야
어지럼증은 주위 사물이 움직이는 것 같은 느낌을 받는 증상을 통칭하는 말이다. 의학용어로는 ‘현훈(鉉暈, Vertigo)’이라고 한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어지럼증으로 병원을 찾은 환자는 2015년 76만 3442명, 2017년 85만 8884명, 2019년 94만 9519명으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어지럼증은 함께 찾아오는 다리 풀림이나 구토, 실신처럼 일상생활을 방해하는 증상이 특히 문제가 된다. 이런 이상 증상이 이동 중에 일어나거나 계단을 오르내릴 때, 바닥이 딱딱한 장소 등에서 발생할 경우 큰 부상으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주의해야 한다.

따라서 어지럼증으로 일상생활에 지속적인 어려움이 발생한다면 조기에 병원을 찾아 정확한 검사를 받아야 한다. 스트레스를 해소하거나 영양을 보충하면 어지럼증이 사라지기도 하지만 뇌기능 이상 등 뇌질환의 한 증상으로 나타나는 어지럼증의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뇌질환 전조증상 어지럼증은 생명까지 위험
어지럼증의 원인은 다양하다. 가장 흔한 원인은 이석증, 전정신경염 등 우리 몸의 균형을 담당하는 전정기관의 이상이다. 이 경우의 어지럼증은 일시적으로 나타났다가 사라지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약물치료나 재활 훈련을 통해 비교적 쉽게 치료할 수 있다.

심장질환이 원인인 경우도 있다. 우리 몸의 맥박이 분당 40회 정도로 느려지거나 기립 시 분당 120회 이상이 지속되면 실신이나 어지럼증이 발생할 수 있다. 대동맥판막 협착증 등 판막질환에도 어지럼증이 발생한다.

3개월 이상 어지럼이 지속되고 이로 인해 일상생활에 지장을 받는데도 각종 검사에서는 뚜렷한 이상이 없다면 기능성전정질환 중 하나인 ‘지속성 체위-지각 어지럼’을 의심해볼 수 있다.

이러한 환자들은 지속적으로 어지럼과 자세 불안을 느끼면서 스스로 움직이거나 주위 물체의 움직임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복잡한 시각 자극에 노출되면 증상 악화를 호소한다. 3개월 이상 지속되는 어지럼을 호소하는 환자의 약 20% 이상을 차지한다. 충분한 약물치료와 비약물적요법을 통해 증상의 의미있는 개선이 가능한 만큼 적절한 진료 및 치료를 받는 것이 필요하다.

가볍게 넘겨서는 안 되는 어지럼증도 있다. 뇌혈관질환의 전조증상으로 나타나는 어지럼증이 그렇다. ▲극심한 어지럼증이 어느 순간부터 갑자기 심하게 나타나는 경우 ▲어지러우면서 소리가 갑자기 들리지 않는 경우 ▲어지럼으로 도움 없이 혼자 서 있거나 걷기 어려운 경우 ▲구토감이 매우 심하거나 물체가 두 개로 보이는 경우 ▲말이 어눌하거나 상·하지의 위약감이 동반되는 경우 ▲눈앞이 캄캄하고 아찔한 경우 등의 증상을 하루나 일주일 단위로 자주 경험한다면 반드시 전문의를 찾아 어지럼증에 대한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받아야 한다.

어지럼증의 원인 중 뇌의 구조적, 기능적 이상에 의해 발생하는 어지럼증을 중추성 어지럼증이라고 한다. 어지럼증을 느끼는 사람 4명 중 1명이 뇌의 문제로 발생하는 중추성 어지럼증에 속한다. 마치 술에 취한 듯 걸을 때 중심을 잡지 못하고 비틀거리거나 손으로 물건을 제대로 잡지 못하는 증상이 나타난다. 또 발음이 어눌해지고 물체가 겹쳐서 두 개로 보이기도 하며 감각 이상 증상을 동반하기도 한다.

문제는 증상만으로 중추성 어지럼과 전정기관의 이상으로 생기는 말초성 어지럼의 구분이 어렵다는 점이다. 따라서 말초성 어지럼증으로 진단이나 치료를 받고 나서도 증상이 호전되지 않는다면 뇌질환을 의심해야 한다. 나승희 가톨릭대학교 인천성모병원 신경과 교수는 “뇌졸중, 뇌종양, 퇴행성 뇌질환 등이 중추성 어지럼증을 발생시키는데 이러한 뇌질환은 치료 시기를 놓치면 심각한 후유증을 남기고 심한 경우 생명이 위험할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어지럼증 자주, 반복해서 나타난다면 뇌졸중·뇌종양 의심
뇌경색과 뇌출혈을 포함하는 뇌졸중은 전조증상이 드물고 건강하던 사람에게 갑자기 발생해 심각한 후유증을 남긴다. 고혈압이나 당뇨병 등 만성질환을 가지고 있는 경우 어지럼증이 나타난다면 뇌졸중의 초기 증상일 수 있다. 실제 이들 환자의 약 10% 정도가 뇌졸중이 발생하기 전 갑자기 어지럽고 비틀거리는 증상을 경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뇌혈관에 이상이 생겨 어지럼증이 나타나는 경우도 있지만 어지럼증이 자주, 반복적으로 나타난다면 뇌졸중을 의심해야 한다. 이러한 증상은 뇌혈관이 좁아져 혈액순환에 이상이 있거나 뇌혈관이 파열돼 나타나는 신호로 최대한 신속하게 의료기관을 찾아 치료를 받아야 한다.

나승희 교수는 “갑자기 어지럼증을 보이는 뇌졸중 환자 중 약 16%는 첫 48시간 동안 초기 MRI(자기공명영상) 검사에서 문제를 발견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고, 구음장애나 편측 마비 등 눈에 보이는 증상을 동반하는 뇌졸중에 비해 진단이 힘든 경우가 많다”며 “급성 어지럼증을 유발하는 말초 전정신경염과 증상 역시 비슷해 MRI 같은 뇌영상 검사와 함께 뇌질환 전문병원에서의 정확한 진찰과 검사, 진단이 필요하다”고 했다.

뇌종양이 있는 경우에도 어지럼증을 느낄 수 있다. 한 해에만 1500여 명의 환자가 발생하는 뇌종양은 아직 정확한 발병 원인이 밝혀지지 않아 특별한 예방책이 없는 상태다. 따라서 조기진단이 최선의 치료법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증상이 서서히 나타나기 때문에 이마저도 발견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뇌종양으로 인해 두개골 내 한정된 공간에 생긴 종양이 뇌의 일부를 눌러 압력이 상승하면 어지럼증과 함께 심한 두통이 발생하게 되는데 특히 뇌종양에 의한 두통은 구토 증상을 동반하며 새벽 시간에 통증이 심해진다는 특징이 있다. 또 종양의 위치에 따라 신경마비와 언어장애, 시각장애, 경련 등 다양한 증상을 동반한다. 조기진단을 통해 질환의 진행 속도를 늦추고 생존율을 높일 수 있는 만큼 어지럼증 증상이 나타나면 방치하지 말고 전문의와의 상담 및 정밀 검사를 받은 후 치료계획을 세워야 한다.

파킨슨병과 같은 퇴행성 뇌질환 환자에게도 지속적인 만성 중추성 어지럼증이 나타날 수 있는데 초기에는 증상이 경미해 치료 시기를 놓치기 쉽다. 소뇌 위축이나 운동실조증 등의 드문 질환에서는 초기 단계에서 단독 어지럼증만으로 발병하는 경우가 있다.

나승희 교수는 “운동 장애가 있거나 팔과 다리를 제대로 가눌 수 없는 증상과 함께 어지럼증이 나타나는 경우 퇴행성 뇌질환일 가능성이 높다”며 “경미한 어지럼증이라도 수개월간 지속된다면 자세한 진찰과 검사를 받는 것이 좋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