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 NHN "규제 풀면 동네 의원도 환자 중심 협진 가능한데..."
2020-07-19 14:00
백창열 NHN 워크플레이스개발센터장 인터뷰
환자중심 협진 플랫폼 '메디컬톡' 개발... 의료 규제로 대학병원만 도입하고 동네병원 제공 못해 아쉬워
환자중심 협진 플랫폼 '메디컬톡' 개발... 의료 규제로 대학병원만 도입하고 동네병원 제공 못해 아쉬워
"협진(협력진료) 플랫폼은 상급종합병원(3차 의료기관)보다 동네의원(1차 의료기관)에 더 유용하다. 규제 탓에 동네의원에 서비스를 제공치 못하는 게 아쉬울 따름이다."
환자와 의료진을 위한 협진 플랫폼 '메디컬톡' 개발을 총괄하는 백창열 NHN 워크플레이스개발센터장(이사)의 지적이다. 메디컬톡은 '다학제 진료'를 위한 의료진 전용 협업 메신저다. 다학제 진료란 한 명의 환자를 위해 여러 분야의 의사가 협진으로 최적의 치료 방안을 찾는 진료 시스템을 말한다.
환자와 의료진을 위한 협진 플랫폼 '메디컬톡' 개발을 총괄하는 백창열 NHN 워크플레이스개발센터장(이사)의 지적이다. 메디컬톡은 '다학제 진료'를 위한 의료진 전용 협업 메신저다. 다학제 진료란 한 명의 환자를 위해 여러 분야의 의사가 협진으로 최적의 치료 방안을 찾는 진료 시스템을 말한다.
19일 클라우드 업계에 따르면, 의료진이 협진을 위해 메신저를 이용하는 것은 기업보다 더욱 엄격히 제한된다. 국내 의료법이 환자의 의료정보를 메신저, 클라우드 등 외부 플랫폼에 올리는 것을 금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기존 IT 플랫폼을 활용한 의료진의 협진은 업무협조요청 같은 기초적인 협업에 머무를 수밖에 없었다.
백 센터장은 "메디컬톡은 NHN이 현업 의료진의 요청을 토대로 협업 솔루션 ‘토스트 워크플레이스 두레이!’를 개발하며 얻은 기술과 노하우를 활용해 개발한 협진 플랫폼이다. 한 명의 환자를 치료하기 위해 여러 명의 의사가 치료 정보와 내역을 공유하고, 함께 최적의 치료방안을 찾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메디컬톡의 가장 큰 강점은 자동화다. 의료진은 협진을 위한 채팅방을 일일이 개설할 필요가 없다. 병원의 전자의무기록(EMR)과 연동해 환자가 입원하면 협진용 채팅방이 자동으로 열린다. 채팅방에는 해당 환자를 치료하려는 의료진만 접근할 수 있고 외부인은 일절 접근할 수 없다. 의료진이 메디컬톡을 실행하면 현재 치료 중인 환자 명단을 바로 확인할 수 있다.
메디컬톡은 의료진의 협진을 위한 채팅, 영상회의, 문서공유, 화이트보드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채팅방 내에서 협의된 진료 내용은 필요 사항만 선택해 EMR에 즉시 입력할 수 있다. 환자의 진료정보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원외망으로 메디컬톡 접속 시 지문, 안면인식, PIN(개인식별번호) 등을 활용한 2차 본인인증을 강제했다. 강력한 DRM(디지털저작권관리)을 적용해 환자 정보가 EMR 외에 다른 곳에 저장되는 것을 막았다. 당직자 조회 같은 의료진을 위한 편의 기능도 담겼다.
백 센터장은 메디컬톡은 기업이 아닌 의료진의 요청으로 만든 서비스라는 점을 강조했다. 그는 "용인세브란스병원에서 두레이를 보고 먼저 연락을 해왔다. 해외에서 협진 플랫폼을 경험한 의료진이 우리 병원에도 이런 서비스가 있으면 좋겠다는 지적을 했다. 이에 NHN과 용인세브란스병원이 협력해 두레이를 토대로 의료진에게 필요한 기능을 더해 메디컬톡을 완성했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 15명 내외의 NHN 개발자가 1년에 걸쳐(논의·기획 6개월) 메디컬톡을 개발해 지난 3월 용인연세의료복합단지로 이전 개원하는 용인세브란스병원에 제공했다.
백 센터장은 "메디컬톡은 NHN이 현업 의료진의 요청을 토대로 협업 솔루션 ‘토스트 워크플레이스 두레이!’를 개발하며 얻은 기술과 노하우를 활용해 개발한 협진 플랫폼이다. 한 명의 환자를 치료하기 위해 여러 명의 의사가 치료 정보와 내역을 공유하고, 함께 최적의 치료방안을 찾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메디컬톡은 의료진의 협진을 위한 채팅, 영상회의, 문서공유, 화이트보드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채팅방 내에서 협의된 진료 내용은 필요 사항만 선택해 EMR에 즉시 입력할 수 있다. 환자의 진료정보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원외망으로 메디컬톡 접속 시 지문, 안면인식, PIN(개인식별번호) 등을 활용한 2차 본인인증을 강제했다. 강력한 DRM(디지털저작권관리)을 적용해 환자 정보가 EMR 외에 다른 곳에 저장되는 것을 막았다. 당직자 조회 같은 의료진을 위한 편의 기능도 담겼다.
백 센터장은 메디컬톡은 기업이 아닌 의료진의 요청으로 만든 서비스라는 점을 강조했다. 그는 "용인세브란스병원에서 두레이를 보고 먼저 연락을 해왔다. 해외에서 협진 플랫폼을 경험한 의료진이 우리 병원에도 이런 서비스가 있으면 좋겠다는 지적을 했다. 이에 NHN과 용인세브란스병원이 협력해 두레이를 토대로 의료진에게 필요한 기능을 더해 메디컬톡을 완성했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 15명 내외의 NHN 개발자가 1년에 걸쳐(논의·기획 6개월) 메디컬톡을 개발해 지난 3월 용인연세의료복합단지로 이전 개원하는 용인세브란스병원에 제공했다.
백 센터장은 "의료 소프트웨어를 클라우드로 전환하려면 넘어야 할 규제가 너무 많다. 클라우드 서비스가 불가능하다 보니 자체 인프라를 갖춘 상급종합병원만 메디컬톡을 도입할 수 있고, IT 인프라가 부족하거나 없는 동네병원·중견병원(2차 의료기관)에선 도입을 엄두도 내지 못한다. 정작 국내 의료진이 경험한 미국의 협진 플랫폼은 클라우드 형태라 병원 규모에 관계없이 쉽게 도입할 수 있었다"고 아쉬움을 토로했다. 국내 IT 기업이 비대면 의료 시대를 맞아 글로벌 기업과 대등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정부가 관련 규제를 재검토할 필요성이 있다는 것이다.
규제에도 불구하고 NHN은 메디컬톡 사업 확대를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병원의 IT 시스템을 구축하는 SI 업체와 협력해 다른 병원에 메디컬톡을 함께 제공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메디컬톡에 대한 의료진의 목소리에도 귀를 기울여 '원외 의료진 긴급호출'과 같은 신규 기능을 지속적으로 추가할 계획이다.
한편, NHN에 따르면 메디컬톡은 의료진만 참여할 수 있는 협진 플랫폼이고, 의료진과 환자가 함께 하는 비대면 의료 플랫폼은 아니다. NHN은 향후 정부 규제와 관련 사업성을 검토해 비대면 의료 플랫폼 시장 진출 여부를 결정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