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바닥 찍었나… 제조업·수출에 달렸다

2020-07-08 12:00
제조업, 출하 감소·재고 증가·가동률 하락 삼중고
KDI "전 세계 경제활동 재개로 경기 회복 기대"

한국 경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한 소비 부진은 완화됐으나 대외수요 감소에 따른 경기 위축이 지속하고 있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8일 '2020년 7월 경제동향'을 발간하고 "최근 우리 경제는 긴급재난지원금 지급과 생활 속 거리두기로 방역 체계를 전환하면서 소비가 회복되고 설비투자도 증가세를 유지하는 등 내수 부진이 일부 완화됐다"고 진단했다.

그러나 KDI는 "대외수요가 위축되면서 수출은 큰 폭의 감소세가 지속했다"며 "전 세계 주요국이 경제 활동을 재개하면서 경기 회복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지만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가 증가하는 것은 경기 하방압력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5월 전산업생산은 공공행정을 제외한 모든 업종에서 감소했다. 감소 폭도 전월의 -5.3%에서 소폭 확대된 -5.6%를 기록했다. 특히 광공업생산은 -9.6%로 역성장했다. 코로나19 확산으로 대외수요가 감소하면서 자동차(-19.5%→-35.0%), 전자부품(-15.3%→-24.0%), 금속가공(-9.3%→-17.0%) 등에서 급격하게 위축됐다.

서비스업생산은 전월의 -6.1%에서 5월에는 -4%로 감소 폭을 줄였다. 전 국민 긴급재난지원금 지급 등의 정책 효과로 숙박⋅음식점업(-24.6%→-14.0%)과 도소매업(-7.6%→-4.5%)을 중심으로 감소 폭이 축소됐다.

제조업은 출하 감소, 재고율 상승, 가동률 하락이 계속됐다. 출하는 내수(-12.1%)와 수출(-11.8%)에서 모두 큰 폭으로 감소했고 재고율은 전월보다 8.6%포인트 상승한 128.5%를 기록했다. 평균가동률도 63.6%로 외환위기 당시인 1998년 7월의 63.2%와 글로벌 금융위기였던 2008년 12월의 62.5% 수준으로 낮아졌다.

6월에는 주요국의 경제활동이 부분적으로 재개되면서 기업심리가 소폭이나마 개선됐다. 6월 계절조정 제조업 업황 BSI와 전산업 업황 BSI는 51과 56으로 전월 대비 소폭 올랐다.
 

[KDI 제공]



그러나 수출 감소는 지속됐다. 6월 수출은 전년 동월 대비 10.9% 줄어들었다. 5월의 -23.6%와 비교해서는 감소 폭이 축소됐지만, 일평균 기준으로는 -18.5%로 전월(-18.3%)과 유사한 수준에 머물렀다.

수출이 줄어들고 제조업 평균가동률도 하락했지만 반도체를 중심으로 대규모 투자가 집행되면서 설비투자 증가 폭은 3.6%로 전월의 1.5% 대비 상승했다.

건설투자도 건축무분의 부진이 이어졌다. 5월 건설기성(불변)은 건축부문 감소 폭 확대, 토목부문 증가 폭 축소로 전월의 -3.2%보다 낮은 -5.8%의 역성장을 기록했다.

소비는 소매판매액이 증가하고 서비스업생산의 감소 폭이 축소되는 등 부진이 일부 완화됐다. 5월 소매판매액은 1.7% 증가해, 전월의 -2.2% 감소에서 증가로 전환됐다.

다만 내구재가 자동차(27.7%)를 중심으로 13.9% 증가한 반면 준내구재와 비내구재는 신발 및 가방(-13.9%), 화장품(-22.1%)을 중심으로 각각 6.9%와 0.4% 감소했다.

6월 소비자심리지수는 81.8을 기록하며 기준치인 100을 여전히 하회했다. 전월의 77.6보다는 상승해 소비심리가 회복되고 있음을 시사했다.

KDI는 "자동차를 중심으로 내구재 소비가 전월에 이어 두자릿수 증가세를 지속했지만 일평균 수출액은 자동차와 석유제품을 중심으로 대폭 감소했다"고 평가했다.

6월 소비자물가는 경기부진으로 낮은 상승세가 지속했다. 5월의 -0.3%보다는 올랐지만, 0%에 그쳤다.

종합주가지수는 전월 말(2029.6) 대비 3.9% 상승한 2108.3을 기록했다. 6월 중반에는 코로나19 재확산 우려로 하락했으나, 주요국의 경기부양책에 따른 경기회복 기대감으로 상승으로 돌아섰다.

원·달러 환율은 전월 대비 35.5원(2.9%) 하락한 1203원을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