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부동산포럼] "프롭테크는 시대의 흐름…정부 배려·지원 있어야 지속"
2020-06-28 13:38
5人 패널토론…"프롭테크가 부동산 시장 미래 견인하는 역할할 것"
26일 국회 의원회관 제1세미나실에서 개최된 '2020 부동산정책포럼'에 모인 각계 전문가들은 프롭테크 대세론에 크게 공감하면서 프롭테크 산업의 활성화 방안에 대한 토론에 나섰다.
조인혜 한국프롭테크포럼(KPF) 사무처장은 "한국에 프롭테크 관련 첫 기사가 나온 2017년 37건 이후 2018년 264건, 지난해 783건으로 기사 건수가 늘었다. 이날까지 집계된 올해 상반기 기사량은 1546건에 달한다"면서 "한국에서도 그만큼 프롭테크 물결이 왔다"고 했다.
한국 프롭테크 시장은 아직 초기 단계에 있지만, 선도국인 영국·미국을 굉장히 빠른 속도로 따라잡고 있다는 설명이다. 조 사무처장은 "프롭테크는 부동산의 가치를 키우고 있고 소비자에게 더 많은 혜택을 줄 수 있는 업계"라면서 "앞으로 3~4년 이후 관심이 꾸준히 높은 시장으로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처럼 업계에서는 프롭테크가 침체된 부동산 업계를 살리는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김유구 위대한상사 대표는 "부동산 가치를 평가하는 AI(인공지능)기술이 현장에서 상용화된다면 여러 부대비용을 획기적으로 낮출 수 있다"면서 프롭테크의 필요성과 확장성에 대해 역설했다.
김 대표는 "트렌드 변화에 따라 변할 수밖에 없는 공간의 가치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해주는 프롭테크 기술이 개발된다면 사회적 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을 것"이라면서 "현재 공유주방과 부동산 중개를 융합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구상 중인데, 이를 위해서는 공간 효율성을 지속적으로 끌어올리는 게 관건"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외식업에서 지하 1층과 지상 2~3층 등은 사실상 죽어있는 공간인데, 이런 공간들의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작업에 프롭테크 기술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면서 "부동산 가치분석에서 AI가 어떻게·얼마나 학습할 수 있을지, 그리고 AI를 통해 도출된 결과를 현장에서 얼마큼 객관화 할 수 있을지 구체화한다면 앞으로 건설·부동산 분야의 생산성도 높아질 수 있다"고 말했다.
선진국과 비교해 크게 낮은 수준인 건설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정부와 국회가 과감히 규제를 개혁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왔다.
이상영 명지대 부동산학과 교수는 "우리나라의 건설 생산성이 선진국에 비해 낮은 이유는 제도적이고 구조적인 문제에서 찾을 수 있다. 시공과 설계가 분리된 업역 칸막이에 규제로 인한 한계 등이다.“
이는 이날 발제자로 나선 박원녕 엔젤스윙 대표와 조성현 스페이스워크 대표가 모두 프롭테크 업계 스타트업이 제도적 문제로 인한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발언한 데 관한 공감이다.
건설업계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드론 측량기술(엔젤스윙)과 AI 기본설계 자동화 기술(스페이스워크)이 있지만, 규제 등에 막혀 아쉬운 상황이기 때문이다.
이날 토론 좌장을 맡은 이상호 건설산업연구원장도 "건설업계 IT기술 도입률이 농업보다도 낮다"며 "외국은 설계 단계부터 시공 전 IT기술을 결합하는데, 우리는 규제로 막혀있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실제로 황정환 KDB미래전략연구소 전임연구원이 지난해 발표한 '건설산업 고도화를 위한 생산성 제고방안' 연구에 따르면 우리나라 건설업 노동생산성은 1시간당 평균 14달러로 선도그룹(30~40달러)의 절반도 못 미쳤다.
발제자와 토론자들은 이날 택시업계와 타다, 빅밸류와 감정평가사협회 간 갈등과 같이 기존 업계와 신산업의 갈등을 방지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모았다.
장경석 국회 입법조사처 입법조사관은 이날 프롭테크 산업의 활성화 방안에 관해 설명하면서 "기술 변화라는 것이 기존 산업 이해관계를 가진 사람들과 어떻게 조화롭게 문제를 풀어나가야 할지가 관건"이라고 말했다.
그는 "영국 산업혁명 시대에 러다이트 운동과 같이 기술 변화라는 것은 결과적으로 대세를 거스를 수 없는 것"이라면서 "소비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시장이 변하기 때문에 시장 수요를 담아낼 수 있지 않으면 공급자로서 유지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고 설명했다.
장 조사관은 "결국 AI나 정보통신기술(ICT) 등의 고품질 정보를 어떻게 생산하고 유통할 것인지가 중요하다"며 "양질의 정보를 어떻게 공급할지에 대해 국회나 국토교통부 등에서 관심을 가져야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무엇보다 기술 변화와 사회의 수용성에 대해 지속해서 고민이 돼야 한다"며 "아버지 일자리를 줄여서 자식의 일자리를 늘리는 이런 문제가 아니고, 아버지 일자리를 유지하면서 자식에게 더 좋은 일자리를 주는 산업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특히 지난달 감평협회가 빅데이터와 AI 기술을 활용해 부동산 가치를 자동으로 평가하는 빅밸류를 유사감정평가 행위로 고발하면서 갈등이 불거진 바 있어 업계에서 더욱 관련 이슈에 집중하는 모습이다.
이에 정부는 규제로 인한 고충을 해결하고 프롭테크 분야를 육성하고자 노력하겠다는 입장과 함께 기존 업계와 신산업 간의 갈등도 방지하겠다고 강조했다.
정우진 국토부 토지정책과장은 "프롭테크 육성안이 담긴 부동산서비스산업 진흥 기본계획을 다음달 중 발표할 예정이다. 기존 업계와 신산업의 갈등이 심화하지 않도록 사전에 조율하는 플랫폼도 만들 계획"이라고 했다.
또 정 과장은 “프롭테크가 걸음마 단계이듯 정책 지원도 마찬가지다”라며 “신기술을 공공이 적극적으로 수용해 매출향상에 도움을 주거나 공동데이터 개방, 규제 문제 등을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설명했다.
한편 업계 내 문제점에 대한 지적도 나왔다. 조 사무처장은 프롭테크가 미래가 유망한 신사업인 만큼 인력 양성에도 힘써야 한다고 꼬집었다. 그는 "훨씬 더 큰 폭의 확대와 로데이터의 확대가 있었으면 좋겠다. 프롭테크 쪽에 인력이 기근 상태다. 항상 채용을 원하는 상태"라고 강조했다.
인력 고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존의 부동산 인력을 교육해서 데이터 분석할 수 있는 인력으로 고도화하거나 외곽에서 일하는 좋은 인력들을 데려올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아울러 IT·AI 등 최첨단 기술로 고용불안에 대한 우려가 나오는 데에 대해서는 "포럼 참석사 가운데 스타트업을 기준으로 1개사당 70명 정도를 채용하고 있다. 이는 일반 벤처 1개사가 고용하는 30명보다 2배를 넘는 수치"라면서 "현장에 있어야 하는 부동산 업계의 특수한 상황이라 고용에 기여하는 상황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