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오스크 눈높이 낮추고, 재난시 공공데이터로 배달 서비스 연결"
2020-06-22 16:00
정보통신전략위, '디지털 포용 추진 계획' 의결
디지털 기기 접근성·역량 제고…사각지대 없앤다
디지털 기기 접근성·역량 제고…사각지대 없앤다
오는 2023년까지 병원, 영화관 등에 높낮이가 조절되고, 말로 작동되는 지능형 무인 정보단말(키오스크)이 보급된다. 또 국가 재난 상황에 취약계층의 급식이 끊기지 않도록 공공데이터와 민간 배달 서비스를 연결하는 플랫폼이 만들어진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관계부처는 22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정보통신전략위원회에서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디지털 포용 추진 계획'을 의결했다. 이 계획은 '다 함께 누리는 디지털 포용 세상 구현'을 표방한다.
정부는 우선 장애인, 고령층 등 취약계층의 디지털 기기·서비스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키오스크 활용 범위를 단계적으로 의무화하고, 소프트웨어(SW) 표준 모듈을 개발해 민간에 보급하기로 했다. 내년에 요식업·교통, 2022년 병원·마트, 2023년 대학·문화(영화관 등) 영역으로 확산할 예정이다.
또 우리나라 어디서든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도록 2022년까지 주민센터, 마을회관 등 공공장소 4만1000여곳에 공공 와이파이를 새로 설치한다. 인터넷 이용이 어려운 농어촌 마을 1300여개 지역에 초고속 인터넷망도 구축한다.
이와 함께 취약계층에 스마트 기기 총 1만대를 지급하고, 통신료 부담도 덜어준다. 특히 시·청각 장애인을 위한 맞춤형 TV를 올해 1만5000대 공급한다. 맞춤형 TV는 인공지능(AI) 기반의 '음성-자막-수어 전환 서비스'를 갖출 예정이다. 장애인 방송 VDO 서비스와 발달장애인 맞춤형 콘텐츠 등도 제작된다.
아울러 국가 재난 상황에 학교나 급식소가 폐쇄돼도 취약계층이 밥을 먹을 수 있도록 공공데이터를 배달의 민족과 같은 민간 배달 서비스와 연결하는 플랫폼도 구축한다. 노인·장애인을 위한 비대면 디지털 돌봄 서비스 제공으로 화재, 낙상, 감염병 등 응급 상황에도 신속하게 대응한다.
박 정책관은 "학교에 못 가는 상태로 어려움을 겪는 일부 지역의 사례가 있어 배달업체 중에서 먼저 제안이 들어왔다"며 "내년부터 플랫폼을 구축하고, 급식 이외에도 대면→비대면 전환이 가능한 복지 서비스에 적용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그리고 각종 디지털 기술의 활용이 원활하도록 주민센터, 도서관, 과학관 등 집 근처 생활 사회기반시설(SOC)을 '디지털 역량 센터(가칭)'로 선정해 기본 교육을 진행한다. 연간 1000개소를 순환 운영하며, 거동이 불편한 중증 장애인 등을 위해서는 1대 1로 찾아가 교육한다.
그는 "보호받아야 할 계층이 점점 더 (보호를) 못 받는 현실"이라며 "서비스 제공자의 인식 전환이 필요하다는 데 공감하고, 앞으로도 취약계층이 기기를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정부와 민간이 함께 노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