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공급망 재편 예상 기업 3분의1 "대비책 없어"…'리쇼어링' 고려 3% 불과

2020-05-31 13:40
매출액 1000대 기업 대상 인식조사…157개사 응답
기업 56.7% 글로벌 공급망 타격으로 기업활동 차질

부산항 신선대부두에 수출입 컨테이너가 가득 쌓여 있다. [사진=연합뉴스] 
 

코로나19로 국내 기업 절반은 향후 글로벌 공급망 재편이 있을 것으로 예상했지만, 이에 대한 대비책으로 리쇼어링(해외공장 국내복귀)을 고려하는 기업은 이 중 3%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또 글로벌 공급망 재편을 예상한 기업 중 3분의1 이상은 별다른 대비책이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지난 18∼23일 설문조사기관 모노리서치를 통해 국내 비금융업 매출액 상위 기업 1000곳을 대상으로 글로벌 공급망 변화에 대한 인식 조사를 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31일 밝혔다.

코로나19 확산 이후 글로벌 공급망 타격으로 기업 활동의 차질을 경험한 기업은 전체 응답 기업(157곳)의 56.7%였다. 산업별로 보면 자동차·자동차부품 제조기업에서는 해당 기업의 66.7%가 기업 활동에 차질을 빚었고, 기계·장비 제조업은 57.1%, 석유·석유화학제품 제조업은 50.0%의 기업이 기업 활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글로벌 공급망 재편이 있을 것이라고 응답한 기업은 전체의 48.4%였다. 업종별로는 석유·석유화학 제조업(75.0%), 자동차·자동차부품 제조업(66.7%)의 과반수가 공급망 체제에 변화가 있을 것이라고 예측했다.

글로벌 공급망 재편을 예상한 기업을 대상으로 향후 대책을 조사한 결과 37.4%는 별다른 대비책이 없다고 답했다. 글로벌 공급망 변화를 예상하면서도 3분의1이 넘는 기업이 아직 대책을 수립하지 못한 셈이다.
 

[그래프=전경련 제공]
 

이어 공급망 지역적 다변화(21.2%), 협력사 관리 강화(20.2%), 내부 공급망 역량 강화(13.1%) 등의 순이었다. 해외 생산기반의 국내 이전 등 리쇼어링을 고려한다는 답변은 3%에 불과했다.

글로벌 공급망 변화를 예상한 비율이 높은 자동차·자동차 부품 제조기업(66.7%)과 석유·석유화학 제조기업(75.0%)의 경우 절반가량은 공급망의 지역적 다변화를 대비책으로 준비한다고 답했다.

이는 코로나19로 부품 조달과 생산 차질을 겪은 기업들이 생산거점을 지역적으로 다변화해 공급망 리스크를 관리하려는 것으로 풀이된다고 전경련 측은 설명했다.

글로벌 공급망 재편에 대비한 대책 수립시 애로사항을 묻자 응답 기업의 24.3%가 기업 관련 규제 등 제도적 어려움을 꼽았다. 자금력 부족(22.4%), 정보 부족(18.7%), 인력 부족(18.7%) 등의 답변도 뒤를 이었다.

글로벌 공급망 재편이 본격화할 경우 필요한 정부 정책으로는 보호무역 기조 완화를 위한 국가 간 통상협력 강화(26.1%), 생산시설 디지털화·고도화 등 내부 공급망 역량 강화 지원(21.6%), 기업 관련 규제 완화(19.9%) 등의 순이었다.

특히 글로벌 공급망 위기에 따른 대안 중 하나로 거론되는 리쇼어링과 관련해 기업 3곳 중 1곳(32.5%)은 세제 혜택·연구개발(R&D) 지원 확대 등 기업지원 제도가 가장 필요하다고 답했다. 노동 규제 완화(24.8%), 판로개척 지원(20.1%), 리쇼어링 기업 인정 기준 확대(10.7%) 등의 필요성도 제기됐다.

유환익 전경련 기업정책실장은 "기업의 리쇼어링을 활성화하려면 미국, 일본과 같은 과감한 지원과 동시에 비용 절감을 목적으로 해외로 이전한 기업을 대상으로 한 핀셋 지원으로 유턴시 국내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