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세대 '나라장터' 유찰, 상반기 공공사업 발주 봇물... SI업계 "선택과 집중의 결과"

2020-04-13 15:17

1300억원대 예산을 들여 2023년까지 구축하기로 한 차세대 국가종합전자조달시스템(나라장터)의 입찰이 무응찰로 유찰됐다. 이에 따라 조달청은 인공지능(AI)과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한 차세대 나라장터 구축 계획에 차질이 생겼다.

최근 보건복지부 차세대 사회보장정보시스템(1200억원대), 우정사업본부 우체국금융 차세대시스템(3000억원대), 교육부 차세대 나이스(NEIS) 사업(1000억원대) 등 굵직한 공공 사업이 잇따라 발주될 계획이어서 제한된 자원을 활용해야 하는 SI 사업자들의 선택과 집중 전략에 관심이 쏠린다. 

13일 SI 업계에 따르면, 조달청이 진행한 '차세대 나라장터 구축전략 및 이행방안(ISMP) 수립'이 지난 10일 무응찰로 유찰됐다. 차세대 나라장터 ISMP는 비록 사업 규모는 19억8000만원에 불과하지만, 2021년부터 3년에 걸쳐 단계적으로 구축하는 차세대 나라장터의 기본 설계서를 만드는 작업인 만큼 사업을 수주한 SI 사업자가 향후 진행될 나라장터 시스템 구축 사업에서도 유리한 고지에 설 가능성이 높다. 이에 국내외 많은 SI 컨소시엄의 참여가 예상됐다.

공공 소프트웨어 사업은 입찰자가 없거나 1곳일 경우 유찰된다. 2회 유찰되면 발주처가 입찰에 참여한 1개 회사에 대한 검토를 거쳐 계약을 체결할 수 있다. 조달청은 10일 차세대 나라장터 ISMP 추가 공고를 내고 재입찰에 나섰다. 개찰은 오는 21일 진행한다.

SI 업계에선 현재까지는 LG CNS 컨소시엄이 차세대 나라장터 ISMP 재입찰에 단독 참여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LG CNS 측은 "내부의 사업적 판단을 거쳐 사업에 응할지 결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반면 삼성SDS는 "차세대 나라장터 ISMP에 참여할 계획은 없다"고 전했다.

이러한 업계 분위기를 두고 한 SI 업계 관계자는 "굵직한 공공 사업이 연달아 있는 데다가 코로나19로 인해 보유한 인력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운용하려는 분위기가 강해져 SI 업체들이 대규모 공공 SW 사업이라고 모두 입찰하지 않고 중요한 사업에만 선택과 집중을 하는 경향이 생겼다"고 설명했다.

차세대 나라장터 구축 사업은 2018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조달청은 500억원 규모의 예산이 필요할 것으로 예측하고 차세대 나라장터 구축을 위한 정보화전략계획(ISP)을 발주했다. 당시 LG CNS가 이를 수주, 기존 나라장터의 문제점과 새로 도입해야 할 기술 등을 검토했다.

이후 조달청은 예비타당성조사를 거쳐 총 1320억원 규모의 구축비 예산을 확보했다. 인공지능, 블록체인 등 4차산업혁명시대의 신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장애 발생, 속도 저하 등의 문제가 일어나는 나라장터를 선진화할 계획이다.

블록체인에 입찰·계약 관련 문서와 계속 활용해야 하는 서류를 저장해 문서 위·변조를 막고, AI 기술을 활용해 지능형 입찰정보 분석, 지능형 상담, 계약위험 분석 등 맞춤형 서비스 개발에 활용할 예정이다. 이밖에 사용자 인터페이스(UI) 개선, 수기 처리 온라인으로 전환, 클라우드 도입, 각 기관의 자체 전자조달시스템 일원화 등도 함께 진행한다.

 

[사진=LG CNS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