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美 선거 해에 더 많은 도발"…김정은 올해 7번째 군사행보
2020-04-10 09:15
빅터 차 "북미 대화, 더는 가능하지 않아…美 대선 앞두고 더 많은 도발할 듯 "
김정은, 올해 6번째 군사행보…"코로나19 우려 종식, 내부 결속 강화의 목적"
김정은, 올해 6번째 군사행보…"코로나19 우려 종식, 내부 결속 강화의 목적"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지난 2월 28일 인민군 확대타격훈련 지도를 시작으로 10일까지 올해 7번째 군사행보에 나선 가운데 북한이 미국 선거 기간 미사일 시험 등 무력도발을 더 많이 감행할 것이라는 주장이 나와 주목을 받는다.
미국 싱크탱크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의 빅터 차 한국석좌는 9일(현지시간) 북한의 대미 도발 가능성을 언급했다.
차 석좌는 한국 특파원들과 가진 화상 콘퍼런스에서 지난달까지만 해도 북·미 간 대화 기회가 있었지만, 이제는 더는 가능하지 않다고 느낀다며 북한의 도발 가능성에 대해 말했다.
그는 북한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대선 승리 보장이 없는 상황에서 ‘긴 협상에 왜 투자하냐’고 생각하는 지점에 있다며 대선 결과를 지켜보되 필요한 부분이 있다면 중국과 한국에서 얻어내려고 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다만 그는 “북한이 아무것도 하지 않을 것이라는 뜻은 아니다. 북한은 미국의 선거가 있는 해에 더 많은 도발을 하는 경향이 있다”며 김 위원장 집권 이후 북한의 미사일이나 핵실험 도발이 선거와 더 가까운 시기에 일어났다는 연구 결과를 소개했다.
그가 소개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북한의 미사일이나 핵실험 도발이 미국 선거일 기준으로 김일성 주석 때는 15주, 김정일 국방위원장 때는 10주 전후에 이뤄졌다. 그러나 김 위원장 집권 이후에는 3.5주 전후로 선거와 더 가까운 시기에 무력도발이 일어났다.
그러면서 차 석좌는 북한이 올해 들어 실시한 미사일 시험 횟수가 2017년 같은 기간보다 더 많았다며 “그것이 어떤 지표라면 우리는 이런 일을 더 많이 볼 것이라고 예상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북한은 지난해 12차례 단거리 발사체를 시험 발사했고, 올해는 3월에만 4차례 도발을 감행했다.
한편 이날 조선중앙통신은 김 위원장이 인민군 군단별 박격포별 구분대들의 포사격 훈련을 현지 지도했다고 보도했다. 훈련 날짜는 명시되지 않았다.
하지만 하루 시차를 두고 보도하는 북한 매체의 특성상, 김 위원장의 훈련지도는 전날일 9일에 이뤄졌을 가능성이 크다. 김 위원장의 이번 훈련지도는 올해 7번째 군사행보이자, 14번째 공개활동이다.
김동엽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는 김 위원장의 이번 훈련지도에 대해 “동계훈련의 막바지인 듯하다”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우려 불식과 내부결속 강화의 목적이 담긴 것으로 봤다.
김 교수는 “시기적으로 최고인민회의 직전에 많은 병력이 동원된 군사훈련을 하고 거기에 마스크도 쓰지 않고 지도하는 김 위원장과 군 지휘부의 모습을 노출했다는 점에서 일단 코로나에 대한 우려를 불식시키려는 의도가 있어 보인다”고 말했다.
이어 최근 북한의 포병훈련이 유독 많다는 점을 언급했다. 김 교수는 “과거 북한이 김 위원장을 포병술의 천재라고 띄우던 것과 무관하지 않다. 또 현 총참모장인 박정천이 포병국장 출신이라는 점과도 연관이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이번 훈련에 박격포를 사용한 것이 현재 북한의 경제 사정과 연관이 있을 것으로 추측했다.
김 교수는 “항공훈련이나 탱크의 경우 연료가 필요할 것이고 지금 상황에서 한 방울이라도 아껴야 할 상황이 아닐까 한다”며 “그러면서도 자칫 소외될 수 있는 구식 무기를 운용하는 부대에 대한 관심을 통해 군 사기를 올리는 효과도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부연했다.
미국 싱크탱크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의 빅터 차 한국석좌는 9일(현지시간) 북한의 대미 도발 가능성을 언급했다.
차 석좌는 한국 특파원들과 가진 화상 콘퍼런스에서 지난달까지만 해도 북·미 간 대화 기회가 있었지만, 이제는 더는 가능하지 않다고 느낀다며 북한의 도발 가능성에 대해 말했다.
그는 북한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대선 승리 보장이 없는 상황에서 ‘긴 협상에 왜 투자하냐’고 생각하는 지점에 있다며 대선 결과를 지켜보되 필요한 부분이 있다면 중국과 한국에서 얻어내려고 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다만 그는 “북한이 아무것도 하지 않을 것이라는 뜻은 아니다. 북한은 미국의 선거가 있는 해에 더 많은 도발을 하는 경향이 있다”며 김 위원장 집권 이후 북한의 미사일이나 핵실험 도발이 선거와 더 가까운 시기에 일어났다는 연구 결과를 소개했다.
그가 소개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북한의 미사일이나 핵실험 도발이 미국 선거일 기준으로 김일성 주석 때는 15주, 김정일 국방위원장 때는 10주 전후에 이뤄졌다. 그러나 김 위원장 집권 이후에는 3.5주 전후로 선거와 더 가까운 시기에 무력도발이 일어났다.
그러면서 차 석좌는 북한이 올해 들어 실시한 미사일 시험 횟수가 2017년 같은 기간보다 더 많았다며 “그것이 어떤 지표라면 우리는 이런 일을 더 많이 볼 것이라고 예상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북한은 지난해 12차례 단거리 발사체를 시험 발사했고, 올해는 3월에만 4차례 도발을 감행했다.
한편 이날 조선중앙통신은 김 위원장이 인민군 군단별 박격포별 구분대들의 포사격 훈련을 현지 지도했다고 보도했다. 훈련 날짜는 명시되지 않았다.
하지만 하루 시차를 두고 보도하는 북한 매체의 특성상, 김 위원장의 훈련지도는 전날일 9일에 이뤄졌을 가능성이 크다. 김 위원장의 이번 훈련지도는 올해 7번째 군사행보이자, 14번째 공개활동이다.
김동엽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는 김 위원장의 이번 훈련지도에 대해 “동계훈련의 막바지인 듯하다”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우려 불식과 내부결속 강화의 목적이 담긴 것으로 봤다.
김 교수는 “시기적으로 최고인민회의 직전에 많은 병력이 동원된 군사훈련을 하고 거기에 마스크도 쓰지 않고 지도하는 김 위원장과 군 지휘부의 모습을 노출했다는 점에서 일단 코로나에 대한 우려를 불식시키려는 의도가 있어 보인다”고 말했다.
이어 최근 북한의 포병훈련이 유독 많다는 점을 언급했다. 김 교수는 “과거 북한이 김 위원장을 포병술의 천재라고 띄우던 것과 무관하지 않다. 또 현 총참모장인 박정천이 포병국장 출신이라는 점과도 연관이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이번 훈련에 박격포를 사용한 것이 현재 북한의 경제 사정과 연관이 있을 것으로 추측했다.
김 교수는 “항공훈련이나 탱크의 경우 연료가 필요할 것이고 지금 상황에서 한 방울이라도 아껴야 할 상황이 아닐까 한다”며 “그러면서도 자칫 소외될 수 있는 구식 무기를 운용하는 부대에 대한 관심을 통해 군 사기를 올리는 효과도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부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