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치료제 개발 한·중·일 삼국지: 전문가 제언] “국가가 나서라, 꼬인 실타래 풀어줄 공동개발”
2020-03-25 18:29
"까다로운 절차는 여전한 과제…정부가 나서 보조금 등 유인책 마련해야"
"정부·기업·의료기관 삼각협력 구축 필요…메르스 백신 중단 사례 재발 막아야 "
"정부·기업·의료기관 삼각협력 구축 필요…메르스 백신 중단 사례 재발 막아야 "
감염병 백신 및 치료제 개발은 제약·바이오 업계에선 계륵 같은 존재다. 건강한 사회를 위해 필요하지만 민간기업 입장에서는 수익을 보장할 수 없기 때문이다. 실제로 사스는 유행 후 4개월 만에 사라져 백신을 개발하던 회사가 임상시험을 포기하기도 했다.
대다수 전문가들은 국내 기업이 ‘포기없이’ 하루 빨리 코로나19 백신과 치료제를 개발하기 위해선 정부의 적극적인 참여와 지원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까다로운 절차는 여전한 과제…정부가 나서 보조금 등 유인책 마련해야"
그는 이어 “백신 관련 연구로는 유전자(DNA) 백신 및 주요 항원 생산, 백신 항원 전달체 및 불활화백신 등 다양한 형태의 백신 개발, 백신에 대한 효능 평가기술 개발 등이 포함된다. 하지만 긴급 연구개발 및 승인에도 최소 1년에서 1년 반이 걸릴 것”이라고 지적했다.
신약개발에 대한 까다로운 행정절차를 간소화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이어 그는 “위기는 기회이기도 하다. IT붐이 일어났을 때 IT부가 생겨났다. 이젠 BT(바이오테크놀로지) 부가 생겨나야 할 때라고 생각한다. 바이오산업은 결국 장치산업이다. 이를 기간산업화하면서 발전할 수 있는 터전을 마련할 기회로 삼아야 한다”고 덧붙였다.
◆"정부와 기업·의료기관 삼각협력 구축…메르스 백신 중단 사례 재발 막아야 "
국내 기업과 병원 등이 임상부터 신약개발 및 상용화까지의 경험이 부족한 만큼 정부가 기업, 의료기관 등과 혼연일체가 돼 임상단계부터 함께하는 자세가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왔다.
이부형 현대경제연구원 산업협력실 이사는 “그동안 바이오산업 부문에서 정부는 가이드라인을 주고 그 가이드라인에 맞춰 결과 보고를 받고 그 결과를 평가하고 허가할지 말지를 결정하는 역할을 맡았다”며 “지금 상황에선 민간에만 맡기면 안 된다. 모니터링부터 정부가 전 과정에 개입을 해야 백신 및 치료제 개발에 속도를 높일 수 있다. 그래야 예산에 대한 투명성과 개발 결과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그 주체는 보건복지부와 식품의약품안전처가 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 이사는 또 임상시험에서의 패스트트랙(신속처리안건) 도입을 강조했다. 그는 “코로나19 사태 가 터지고 나서 일주일 만에 빠른 진단키트가 나왔다. 긴급사용승인이란 제도가 있어서다. 임상시험승인 문제도 패스트트랙(신속처리안건)으로 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주효진 가톨릭관동대학교 의학과 교수도 “컨트롤타워나 전권을 가진 사람이 치료제 개발 관련해 행정절차의 패스트트랙에 대한 명확한 지시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 그는 “바이러스의 특성상 최단기간 개발이 어렵다는 것을 국민들에게 인식시키는 것도 필요하다”며 “당장이라도 개발할 수 있다는 환상을 정부나 기업들이 심어주고 있는 것이 아닌지 고려해볼 필요도 있다”고 당부했다.
반면, 정기석 한림대학교 의대 호흡기내과 교수(전 질병관리본부장)는 패스트트랙 도입 여부보다는 기반여건 형성이 장기적으로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우리나라는 국가에서 의료산업 분야에 큰 투자를 안 한다. 백신이든 치료제든 민간에서 알아서 하고 있는 상황”이라면서 “아무리 패스트트랙 제도가 있어도 트랙에 따르기 전에 1, 2, 3상까지 이루는 데는 많은 전문인력과 시설이 필요하다. 이에 대한 지원을 (정부가) 해주지 않는다면 메르스 때처럼 유행이 끝난 후엔 개발이 멈춰질 것이다”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