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NA] 중국에서 동남아시아로 스마트폰 제조의 이동가속
2020-03-25 13:53
스마트폰 프로, 타무라 카즈테루(田村和輝)
최근, 제조업에서는 동남아시아로 거점을 옮기는 움직임이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이것은 스마트 폰도 예외는 아닙니다. 스마트폰의 제조는 대부분 중국에서 이루어지지만, 동남아시아가 유력한 이전 대상으로 검토되고 있습니다. 이번에는 그 배경 등을 소개합니다.
마찬가지로 한국의 LG 전자는 국내 및 중국 등에 다수 공장을 건설 했지만 한국에서의 생산 기능은 베트남으로 이전 시켰습니다. 중국 공장은 실적이 악화하고 있기 때문에 축소 및 폐쇄 등 다양한 대안을 검토중인 것으로 생각됩니다. 일본 기업도 예외는 아닙니다. 소니 산하의 소니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는 중국 공장을 폐쇄하고 스마트 폰의 제조는 다른 소니 산하 기업이 운영하는 태국 공장으로 옮겼습니다. 사실상 동남아로의 이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동남아로 생산 기지를 이전하는 움직임의 배경으로 중국과 한국의 생산 비용 상승과 미 · 중 무역 마찰의 영향을 들 수 있습니다. 한국은 인건비가 높고, 중국에서도 상승 추세에 있어 인건비가 저렴했다는 과거의 매력은 이미 사라졌습니다. 한국 정부는 삼성 전자에 국내생산의 회귀를 타진했지만, 비용을 이유로 거절되었습니다. 한국과 베트남의 1인당 인건비를 비교하면, 약 8 배의 차이가 있다는 계산도 있습니다.
목표는 생산 대국
외한 자본을 모으는 베트남
이전 대상으로 동남아가 주목되는 가운데, 스마트 폰 제조국화를 지향하는 나라가 있습니다. 바로 베트남입니다. 출하 대수 기준으로 세계 최대 스마트 폰 제조사라고 말할 수 있는 삼성 전자가 박닌과 타 이응우 옌 성에 공장을 개설하고 베트남을 회사 최대의 생산 거점으로 만들었습니다.
지역 업계에서는 'B 폰'브랜드의 스마트 폰 사업인 Bkav 공사도 무시할 수 없습니다. B 폰의 15 년 초대 모델과 17 년의 2 대째 모델은 자사 공장에서 생산을 실시했지만, 18 년 3 대째 모델은 외부 위탁으로 전환, 협력 회사가 일본계 기업이 되었습니다. 선정된 가나가와 현의 메이코 (아야세시) 하노이 공장에서 주로 스마트폰용 기판 등을 생산하고 높은 기술력으로 호평을 받고 있었습니다.
한편 중저가 스마트 폰이 주를 이루는 베트남에서는, 약간 높은 가격인 B 폰의 판매 대수가 많지 않아, Bkav 코퍼레이션이 자체 생산 라인을 마련하는 것은 비효율적이었습니다. 그래서 실적이 있는 일본계 기업이 선정 된 것입니다. 베트남 기업에 의한 베트남 업체의 스마트 폰이 실은 일본 기업이 생산을 담당하고 있다는 사실은 그다지 알려져 있지 않은 듯 합니다.
수탁 제조 기업도 진출해 있으며 대만 기업의 홍 하이 정밀 공업 (폭스콘)은 베트남의 박닌에서 기존의 휴대 전화 제조를 담당합니다. 이 회사의 스마트 폰은 아직 중국에서 제조가 대부분이지만, 가까운 장래에는 베트남에서 시작 할지도 모릅니다. 다른 주요 수탁 제조 기업도 공장을 개설하는 모양으로 각 사가 베트남에서 생산을 단번에 확대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품질 기준이 엄격한 삼성전자 등의 회사가 베트남에서 생산을 시작함으로써 고급 기술을 갖춘 우수한 인재 육성의 진행과 동시에 인력 충원도 활발 해지고 있는 모양입니다. 스마트폰 제조에 적합한 환경이 갖추어지고 있습니다.
삼성전자의 베트남 경제 기여도는 최대 실적을 올리고 있지만, 그럼에도 삼성전자에 의존하는 상황에서 탈피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제 2의 삼성전자가 필요합니다. 베트남은 취약한 인프라와 불충분한 법제도 등의 단점도 있지만, 세제 등 혜택을 실시하며 외투 기업 유치에 적극적입니다. 유치 실적과 중국에서 가까운 지리적 조건에 힘 입어 스마트폰 제조 대국화가 가속화 될지도 모릅니다.
대항마가 될 수 있을까?
인도네시아와 인도
중국의 유력한 대체지로는 이미 소개한 베트남 외에도 인도네시아, 인도가 유력 후보로 올라있습니다.
인도네시아와 인도에는 이미 많은 기업들이 진출해 있습니다 (인도에서는 이미 미국 애플 'iPhone (아이폰)'의 제조가 일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베트남처럼 제조비용 및 미 중 마찰의 영향을 피하는 관점에서 메리트가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양국은 제조 업체의 자발적인 진출보다 현지 생산을 추진하는 정책의 영향이 짙은 것이 특징입니다.
우려되는 점으로는 인도네시아 노동자에게 유리한 노동법이나, 홍수 등 자연 재해의 위험도에 있어 주에 따라 복잡한 제도 및 절차뿐만 아니라 높은 임금 상승률 등이 있는 점을 들 수 있습니다.
이미 홍해가 현지 기업과 제휴해 스마트폰을 대량 제조하고 있으며, 그 외의 수탁 제조 기업도 공장을 건설했습니다. 인도네시아, 아니 바탐 섬은 베트남의 유력한 대항마가 될지도 모릅니다.
중국에서는 코로나19에 의한 폐렴 (COVID19)의 유행에 따라 많은 공장이 조업을 재개하지 못하고, 부품이나 스마트폰 생산이 정체되는 등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탈 중국의 움직임이 가속화 될 수 있으나, 동남아 국가에서도 같은 사태가 발생하지 않다는 보장이 없어, 완전한 이전보다는 더 많은 거점을 마련하여 리스크 분산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다만, 제조 비용의 인하를 노리는 기업들에 있어 생산 거점을 늘리는 것은 비효율적이기 때문에 기업에게는 어려운 결정 될지도 모릅니다.
타무라 카즈테루(田村和輝)
시가현 출신. 통신업계 우옷챠. 프리랜서로 활동. 휴대전화 관련 웹사이트를 운영하고 아시아를 중심으로 세계 휴대전화 소식을 전함. 동아시아와 동남아시아의 모든 국가에서 휴대 전화 회선을 계약. 최근에는 아시아 이외에도 손을 뻗치고 있다. 일본인 여행객이 적은 국가와 지역사정에 밝고, 중동에서는 가장 먼저 5G를 체험. 국내외 발표회 및 전시회에도 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