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외교부, 中 베이징 다시 격리조치 명단에…韓 입국금지·제한 91개국

2020-03-04 09:05
3일 오후 11시 기준 한국발 입국금지·제한 91개 국가·지역으로 늘어
외교부 "中 베이징시 당국 지침 아니다"라더니…베이징 격리조치 추가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 급증 사태로 해외 각국의 한국발(發) 입국자에 대한 입국금지·제한 조치를 시행하는 국가·지역들이 증가하고 있다.

그런데 이런 상황을 우리 국민에게 신속하고 정확하게 전달해야 하는 외교부는 아직도 사태 파악에 갈팡질팡하는 듯한 모습을 드러내 지적의 대상이 되고 있다.

4일 외교부 해외안전여행 홈페이지에 따르면 전날 오후 11시 기준 한국발 입국자에 대한 입국금지·격리·검역강화 조치를 시행한 곳은 총 91개 국가·지역으로 집계됐다.

입국금지 조치를 한 국가·지역은 37개이고, 격리조치는 중국을 포함한 22개, 검역강화 및 권고사항을 지시한 곳은 32개로 확인됐다.

특히 코로나19 발원지로 한차례 홍역을 치른 중국은 한국발 입국자에 대한 조치를 지방정부별로 다 다르게 시행하고 있으며 그 수는 14개에 달했다.

중국 지역의 격리조치 현황에서 눈에 띄는 점은 전날 오후 3시 기준 명단에서 제외됐던 중국의 수도 베이징(北京)이 다시 포함된 것이다.

해당 명단에 따르면 베이징시 정부는 한국발 항공기에 탑승한 내외국민이 베이징서우두(首都)국제공항에 도착하면 지정장소에서 발열체크 및 건강문진표를 제출하도록 하고 있다.

또 발열자 및 대구·경북 출신 탑승자들은 공항 상주의사와 상담을 통해 건강상태를 상세히 체크한 뒤 이상이 없으면 14일간 자가격리한다. 발열 지속 등 이상증상이 있으면 해당 인원만 병원으로 이송한다.

앞서 외교부 당국자는 “애초 베이징의 일부 아파트 단지에서 14일간 격리하는 일이 있어 넣었지만, 베이징시 당국에서 공식적으로 한 것이 아닌 것으로 파악됐다”며 베이징을 격리조치 명단에서 제외했다. 하지만 하루도 채 지나지 않아 베이징을 다시 명단에 포함했다.

코로나19 사태와 관련 이른바 ‘코리아 포비아’로 우리 국민이 해외에서 예기치 못한 불편과 위험에 놓일 우려를 막아야 하는 외교부가 여전히 사태 파악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는 대목이다.

외교부의 수장 강경화 외교부 장관은 전날 한국발 입국을 제한한 국가와 연이어 통화하며 과도한 조치의 자제를 당부했다. 외교부는 강 장관이 직접 연락할 필요가 있는 국가들의 명단을 작성해 일정이 조율되는 대로 통화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런데도 한국발 입국을 금지하고 제한하는 국가·지역을 늘어나고 있다. 이로 인해 외교가 안팎에서는 “이번 사태로 한국 외교력의 민낯이 드러났다”며 “정부가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의 방한으로 한·중 관계 회복을 기대했지만, 정작 중국 지방정부의 상황조차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설득에도 실패했다”고 비판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3일 오후 11시 기준 '코로나19 확산 관련 한국발 입국자에 대한 조치 사항' 중 중국 지역의 격리조치 현황. [사진=외교부 해외안전여행 홈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