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發 경제 파장, 이달 정점…2분기까지 이어질 것”
2020-03-04 00:03
전문가들 "사스 때보다 피해 커...제조업 가장 큰 타격"
“중국 의존도 큰 한국 기업, 생산네트워크 다변화 필요”
“중국 의존도 큰 한국 기업, 생산네트워크 다변화 필요”
전문가들은 코로나19가 한국 경제에 미치는 파장이 과거 IMF 외환위기를 상기 시키는 한편 과거 사스(SARS,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때보다 훨씬 클 것으로 전망했다.
자동차, 항공, 철강, 정유화학, 유통과 호텔·레저 산업까지 업종을 불문하고 대중국 의존도가 과거에 비해 더욱 커진 탓이다. 수출 부진과 내수 악화 등 경제적 악영향은 최대 2분기까지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기업의 강도 높은 구조조정이 수반돼야 한다는 지적이 설득력을 얻는 이유다. 궁극적으로는 그간 중국에 의존했던 생산네트워크를 다른 국가로 다변화하는 등 글로벌 공급망 유연성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도 거세다.
3일 하나금융경영연구소의 ‘신종코로나 바이러스 확산에 따른 산업별 영향 보고서’에 따르면 코로나19 사태는 최소 2분기까지 중국 경제에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특히 중국 경제 규모가 늘어나면서 세계 경제에 미칠 파장은 사스 때보다 훨씬 클 것으로 예상됐다. 실제로 2003년 세계 국내총생산(GDP)에서 중국의 비중은 4.3%에 불과했지만 2019년엔 15.9%로 확대됐다. 중국의 해외 관광 지출도 같은 기간 154억 달러에서 2765억 달러로 급증했다. 중국과 경제적·지리적으로 밀접한 한국 기업에 미칠 영향도 적지 않다. 한국 수출과 입국 관광객의 대중 의존도는 30%를 상회한다.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도 2월 수출입동향 발표를 통해 “과거 사스 때보다 중국의 경제규모와 한국의 대중국 수출의존도가 크게 증가했고, 중국이 글로벌 공급망에서 핵심 역할을 해 코로나19 영향은 사스 때보다 더 클 것”이라며 “3월부터 코로나19 확산 영향이 나타날 것”이라고 밝혔다.
전문가들의 전망도 어둡다. 특히 제조업 기반 기업의 피해가 막심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지선 LG경제연구원 책임연구원은 “코로나19 때문에 경제전망 자체가 어두워지고 있으며 1분기 그 충격이 클 것”이라면서 “현재 항공업계와 제조기반 기업들이 조업차질을 빚고 있는 등 내수부문에서 큰 충격이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향후 코로나19 실태와 전망을 조금 더 지켜봐야겠지만 현재로선 확진자가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어 조업차질이 확대될 가능성이 크다”고 덧붙였다.
민간소비가 둔화되면서 연쇄적으로 내수 부진이 이어질 것이란 우려도 크다. 홍준표 현대경제연구원 박사는 “관광과 도소매, 서비스 분야가 직접적인 타격을 받아 민간부문의 소비지출이 어려울 것으로 전망한다”며 “중국뿐만 아니라 국내 공장에서도 확진자가 나오면서 폐쇄 사례가 나오고 있는 점을 미뤄봤을 때 생산과 매출이 줄어들 것”이라고 우려했다.
그는 특히 경제성장률 전망치에 대해 부정적 관측을 내놨다. 홍 박사는 “앞서 현대경제연구원이 코로나19 영향으로 1분기 경제성장률을 0.1%p 하향시킬 것으로 전망했지만 코로나19 확산 속도와 기간에 영향을 받아 부정적 효과가 더욱 커질 수 있어 예단이 힘든 상황”이라고 전했다.
코로나19에 따른 경제 파장은 3월에 정점을 찍고 2분기까지 이어질 것이란 전망도 우세하다.
김수진 우리금융경영연구소 연구위원은 “코로나19의 확산세가 1분기에 절정을 보이고 관련 영향이 2분기까지 이어질 것으로 가정된다. 이에 따라 상반기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감소할 것으로 추정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코로나19 여파로 화학, 철강, 정유, 유통과 호텔·레저 산업이 가장 큰 타격을 받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되면 중국발 부품 및 소재 조달과 물류에 차질이 발생하는 한편 중국 수입수요 위축에 따라 전자기기·기계·화학 등 주요 제조업의 타격이 심화될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글로벌 가치사슬(GVC) 약화로 중국의 피해가 대부분의 국내 제조업으로 확산된다는 것이다.
안혜영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연구위원은 “중국발 코로나19 충격이 장기화할 경우에 대비해 부품 및 소재에 대한 중국 의존도를 낮추고 대체 수입선을 확보하는 등 위험을 분산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정영식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신남방경제실장은 “코로나19 영향이 장기화될 경우 정부 차원의 사업지속계획(BCP: Business Continuity Plan)을 수립해야 한다”면서 “우리 기업들도 그간 중국을 중심으로 구축된 글로벌 생산 네트워크를 다변화하는 등 공급망 유연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