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의료계, 이제 추적·격리 방식 무의미…치료·피해 최소화에 집중해야

2020-02-23 17:35
지역사회 전파 시작…피해 최소화 방식에 온 국민 동참 유도

'코로나19'로 인해 대구로 집결한 전국의 119 구급대 앰뷸런스 전경. [연합뉴스]

앞으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응 방식을 추적·격리 등 봉쇄 전략에서 피해 최소화(완화)에 집중하는 방식으로 바꿔야 한다는 의견이 의료계에서 나왔다.

특히 의료계는 중앙정부 중심으로 발병 지역에 초점을 맞춘 봉쇄 전략에서 벗어나 개인위생을 철저히 하고, 제한적인 생활에 온 국민이 동참하는 완화 전략에 나서줄 것을 거듭 권고했다. 이를 위해서는 온 국민이 상황을 심각하게 받아들일 수 있도록 경보단계를 심각으로 상향해야 한다는 주장도 뒤따랐다. 결국 정부는 23일 감염병 경보 단계를 최고 수준인 '심각'으로 격상했다.

대한감염학회 등 국내 11개 감염·역학 관련 학회가 함께한 '범학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대책위원회'는 지난 22일 기자 간담회를 열고 이 같은 의견을 제시했다.

대책위는 코로나19 확진자가 급증하는 상황에서 지금과 같은 봉쇄 전략은 불가능해졌다고 지적했다. 김동현 한국역회장(한림대 사회의학교실 교수)은 "20일 이후로 방역막 밖에서 환자가 폭발적으로 생겨나고 있다"면서 "더 이상 접촉자를 격리하는 방역 전략이 가능하지 않다. 그러면 대응도 심각단계로 올려, 봉쇄전략보다는 피해를 최소화하는 완화전략을 펼쳐야 한다"고 말했다.

최은화 대한소아감염학회 대표(서울대 소아과학교실 교수) 역시 "(대구와 같은 급증이) 다른 지역에서도 발생할 수 있는 상태"라며 "지금은 확진자 접촉자 위주로 격리하는 것만으로 증가 추세를 막을 수 없다"고 짚었다.

대책위는 대구와 같은 상황이 다른 지역에서 발생할 가능성이 있어, 중증과 경증 환자에 대한 선별적 대응 체계를 갖춰야 한다고 조언했다. 증상의 경중에 상관없이 종합병원으로 향하기보다, 각 경중에 따라 진료소를 구분해 효율적 진료에 나서야 한다는 것이다.

손준영 고려대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코로나19와 같은) 신종 바이러스의 경우 백신이 없기 때문에 의료 시스템을 정비할 필요가 있다"면서 "다른 지역에서도 발열 호흡기 환자를 선별 진료하는 병원, 중증과 경증 환자를 치료하는 병원 등 미리 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백진휘 대한응급의학회장(인하대 응급의학과 교수)은 "지자체별로 경증환자를 위한 호흡기 진료소 인력 등을 공유하면서 응급실 과부화를 막을 수 있다"며 "경증과 중증을 구분해 중증 환자는 대형병원에 집중시키는 방안을 찾아야 한다"고 밝혔다.

대책위는 코로나19 대응을 수정하는 데 있어 뜸을 들여서는 안 된다고 거듭 강조했다. 최원석 고려대안산병원 감염내과 부교수는 "이제 (코로나19에) 노출되는 것은 어쩔 수 없기 때문에 완화 전략으로 가는 속도를 높여야 한다"면서 "사태가 정점에 달해 바꾸기보다 앞서서 대응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이들은 이날 정부에 △비상 의료전달체계를 마련하고 △위기소통활동을 대폭 강화하고 △진단서 없이 공결이나 병가를 쓸 수 있도록 하고 △아픈 아이를 돌보기 위해 부모가 병가를 쓰는 것으로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정부와 기업이 지원하는 방안 마련 등을 권고했다.

또 국민들에게는 △손 씻기와 기침예절 지키기 △환경 소독 △실내 환기 △모임 금지 △감염에 취약할 수 있는 노인이나 만성질환자의 외출 자제 등을 권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