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코로나] 슈퍼차이나의 힘, 신종코로나 저지에는 독?
2020-02-03 16:34
'일대일로' 중국 심기 건드릴라 동남아 위험성 축소
WHO '뒷북' 비상사태, 기부금 눈치 보느라 늦어
WHO '뒷북' 비상사태, 기부금 눈치 보느라 늦어
일대일로 사업과 국제 원조 등 막대한 차이나머니를 기반으로 국제적 영향력을 넓혀가고 있는 '슈퍼차이나'의 존재감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우한폐렴) 확산 저지에 악영향을 준다는 분석이 나왔다.
2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와 동남아 현지 언론들은 중국과 인접한 동남아 국가들이 신종 코로나 확산 위험이 높음에도 중국의 눈치를 보며 미온적으로 대처한다고 지적했다.
중국 관광 수입 의존도가 높은 태국에서도 중국 눈치보기 속에 신종 코로나 확산 방지 대책을 두고 부처간 불협화음이 확인됐다. 태국 보건당국이 신종 코로나 확산을 우려해 중국 여행객 비자 발급을 제한하는 등 강력한 조치를 내놓자, 관광체육부가 "중국과의 관계를 악화시킬 수 있는 보건부의 추가 조치에 반대한다"고 나선 것. 이를 의식한 듯 태국 보건당국 역시 전파 위험이 크지 않다고 주장하며 과도한 우려를 자제하라고 당부했다.
친중 성향으로 유명한 훈 센 캄보디아 총리도 신종 코로나 위험을 깎아내리기에 바빴다. 그는 지난달 30일 기자회견에서 "중국행 비행로를 폐쇄하고 중국 내 우리 국민을 대피시키는 조치는 캄보디아의 경제를 죽이고 중국과의 관계를 악화시킬 것"이라며 중국 내 자국민 귀환 요청 요구를 일축했다. 캄보디아에서는 현재 확진자 1명이 확인된 상태다. 그는 또 "마스크 착용이 근거 없는 공포를 조장한다. 마스크 착용자를 내쫓겠다"며 "캄보디아에서 발생한 진짜 질병은 공포라는 병이지 우한 코로나바이러스가 아니다"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반미친중 행보를 보여온 로드리고 두테르테 필리핀 대통령은 최근까지 중국발(發) 방문자의 입국을 막을 이유가 없다고 밝혀왔으며, 2일 필리핀에서 중국 밖 첫 신종 코로나 사망자가 발생한 뒤에야 중국발 외국인 입국을 잠정 금지하는 조치를 내놨다.
중국 경제 의존도가 높은 이들 동남아 국가들은 자칫 강력한 대응에 나설 경우 중국의 반감을 사게 될까 우려하고 있다. 향후 관광 산업 악화뿐 아니라 막대한 차이나머니가 투입된 중국 주도 일대일로 사업에 차질이 생길 수도 있기 때문이다.
중국은 최근까지 캄보디아를 중심으로 미얀마·라오스·태국 등 메콩강 권역 국가들을 일대일로 전략의 거점 지역으로 삼고 도로·댐 등 인프라 구축사업을 집중 지원하고 있다. 사회간접자본(SOC)이 절대 부족한 이들 국가들로선 중국의 심기를 건드려 사업이 중단될 가능성을 신경쓰지 않을 수 없는 셈이다.
중국의 눈치를 보느라 신종 코로나에 소극적으로 대처했다는 지적을 받는 건 세계보건기구(WHO)도 마찬가지다. 전문가들은 WHO가 지난달 30일 선포한 '국제적 공중보건 비상사태(PHEIC)'가 이미 세계 곳곳의 방역망이 뚫리고 감염자가 9000명이 넘은 뒤 나온 ‘뒷북 조치'라고 비판하고 있다고 닛케이아시안리뷰가 최근 전했다.
아울러 비상사태 선포 당시 아드하놈 거브러여수스 WHO 총장은 "중국 정부가 발병 감지·바이러스 격리·유전체 정보 공유 등 조치를 잘했다"며 "비상사태 선포는 중국에 대한 불신임 투표가 아니다"라고 강조하기도 했다.
여기에는 거브러여수스 WHO 총장이 중국에 진 '마음의 빚'이 작용했을 가능성이 있다는 지적이다. 에티오피아 출신 거브러여수스 총장은 2017년 5월 WHO 총장에 당선된 건 중국과 아프리카 국가들의 지지가 있어서 가능했다.
당시 중국은 600억 위안(약 10조 원)을 WHO에 투자하겠다고 약속하기도 했다. 로이터는 미국이 2017년부터 WHO가 속한 유엔 지원금 중 6억4000만 달러(약 7500억 원)를 삭감한 상황에서 거액을 지원하는 중국을 의식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라고 전했다.
2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와 동남아 현지 언론들은 중국과 인접한 동남아 국가들이 신종 코로나 확산 위험이 높음에도 중국의 눈치를 보며 미온적으로 대처한다고 지적했다.
중국 관광 수입 의존도가 높은 태국에서도 중국 눈치보기 속에 신종 코로나 확산 방지 대책을 두고 부처간 불협화음이 확인됐다. 태국 보건당국이 신종 코로나 확산을 우려해 중국 여행객 비자 발급을 제한하는 등 강력한 조치를 내놓자, 관광체육부가 "중국과의 관계를 악화시킬 수 있는 보건부의 추가 조치에 반대한다"고 나선 것. 이를 의식한 듯 태국 보건당국 역시 전파 위험이 크지 않다고 주장하며 과도한 우려를 자제하라고 당부했다.
친중 성향으로 유명한 훈 센 캄보디아 총리도 신종 코로나 위험을 깎아내리기에 바빴다. 그는 지난달 30일 기자회견에서 "중국행 비행로를 폐쇄하고 중국 내 우리 국민을 대피시키는 조치는 캄보디아의 경제를 죽이고 중국과의 관계를 악화시킬 것"이라며 중국 내 자국민 귀환 요청 요구를 일축했다. 캄보디아에서는 현재 확진자 1명이 확인된 상태다. 그는 또 "마스크 착용이 근거 없는 공포를 조장한다. 마스크 착용자를 내쫓겠다"며 "캄보디아에서 발생한 진짜 질병은 공포라는 병이지 우한 코로나바이러스가 아니다"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반미친중 행보를 보여온 로드리고 두테르테 필리핀 대통령은 최근까지 중국발(發) 방문자의 입국을 막을 이유가 없다고 밝혀왔으며, 2일 필리핀에서 중국 밖 첫 신종 코로나 사망자가 발생한 뒤에야 중국발 외국인 입국을 잠정 금지하는 조치를 내놨다.
중국 경제 의존도가 높은 이들 동남아 국가들은 자칫 강력한 대응에 나설 경우 중국의 반감을 사게 될까 우려하고 있다. 향후 관광 산업 악화뿐 아니라 막대한 차이나머니가 투입된 중국 주도 일대일로 사업에 차질이 생길 수도 있기 때문이다.
중국은 최근까지 캄보디아를 중심으로 미얀마·라오스·태국 등 메콩강 권역 국가들을 일대일로 전략의 거점 지역으로 삼고 도로·댐 등 인프라 구축사업을 집중 지원하고 있다. 사회간접자본(SOC)이 절대 부족한 이들 국가들로선 중국의 심기를 건드려 사업이 중단될 가능성을 신경쓰지 않을 수 없는 셈이다.
중국의 눈치를 보느라 신종 코로나에 소극적으로 대처했다는 지적을 받는 건 세계보건기구(WHO)도 마찬가지다. 전문가들은 WHO가 지난달 30일 선포한 '국제적 공중보건 비상사태(PHEIC)'가 이미 세계 곳곳의 방역망이 뚫리고 감염자가 9000명이 넘은 뒤 나온 ‘뒷북 조치'라고 비판하고 있다고 닛케이아시안리뷰가 최근 전했다.
아울러 비상사태 선포 당시 아드하놈 거브러여수스 WHO 총장은 "중국 정부가 발병 감지·바이러스 격리·유전체 정보 공유 등 조치를 잘했다"며 "비상사태 선포는 중국에 대한 불신임 투표가 아니다"라고 강조하기도 했다.
여기에는 거브러여수스 WHO 총장이 중국에 진 '마음의 빚'이 작용했을 가능성이 있다는 지적이다. 에티오피아 출신 거브러여수스 총장은 2017년 5월 WHO 총장에 당선된 건 중국과 아프리카 국가들의 지지가 있어서 가능했다.
당시 중국은 600억 위안(약 10조 원)을 WHO에 투자하겠다고 약속하기도 했다. 로이터는 미국이 2017년부터 WHO가 속한 유엔 지원금 중 6억4000만 달러(약 7500억 원)를 삭감한 상황에서 거액을 지원하는 중국을 의식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