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소충전소·생산기지·연료전지 집중 관리한다

2019-12-26 14:30
생산-운송-저장-활용, 全주기 수소 안전관리체계 구축
가스안전공사 내 수소 안전관리 전담기구 설치
고압용 밸브류 포함 압축기·충전기 등으로 안전인증 확대

정부가 수소 산업의 생산-운송-저장-활용까지 전(全) 주기 안전관리체계를 확립한다. 3대 핵심시설인 수소충전소, 수소생산기지, 연료전지 시설을 중점 관리하고, ‘안전인력 양성 5개년 계획’을 수립해 지속가능한 수소 산업의 안전생태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산업부는 26일 대전시 소재 학하 수소충전소에 대한 일일 안전점검을 하고, 수소 강국 실현을 위해 △국민안전 최우선 확보 △글로벌 수준의 안전체계 구축 △지속가능한 안전생태계 조성 등 3대 추진전략과 4대 분야 12개 중점과제 등 ‘수소 안전관리 종합대책’을 발표했다.

우선 글로벌 수준으로 안전관리 시스템을 개선하기 위해 가스안전공사 내 수소 안전관리 전담기구를 설치한다. 저압수소 관리를 위해서는 수소법을 제정해 생산-운송-저장-활용 등 수소 밸류 체인 전반에 대한 높은 수준의 안전 관리체계를 마련할 예정이다.
 

[표=산업부]
 

국민 안전과 직결되는 수소충전소에 대한 안전관리도 강화한다. 현행 제도상 수소충전소는 700bar 이상의 고압 저장 탱크, 압축기 등을 사용하고 있다. 안전 관리자가 상주하면서 자체 점검을 하고, 비상시 3중 안전장치가 작동하도록 관리하고 있다.

앞으로는 수소충전소 시공단계에서부터 가스안전공사와 전문가가 입지 여건을 고려한 안전성 평가를 하고 평가에 따른 안전 조치 사항을 주민에게 공개한다. 외관 위주의 정기검사도 첨단장비를 활용하는 정밀 안전진단으로 대체한다.

충전소 수소 누출에 영향을 미치는 고압용 밸브류의 안전인증도 단계적으로 압축기, 충전기 등으로 확대해 제품 제조단계에서부터 안전관리를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수소생산기지의 수소 추출기, 수전해 설비의 고온, 산소 발생 등 설비 특성을 고려한 글로벌 수준의 안전기준도 마련한다. 생산 제품마다 전수검사를 하고, 수소충전소 수준의 안전성 평가와 이중 모니터링 체계도 도입한다.

가정, 건물, 발전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하는 수소연료전지는 배기가스(C))농도, 수소 품질, 누수 등 부분별로 안전기준을 마련한다. 가스와 전기 설비를 결합한 설비 특성을 고려해 가스·전기안전공사가 통합 점검·관리한다.

현장에 필요한 안전 인력난 해소를 위해 ‘수소안전 전문인력 양성 5개년 계획’도 수립한다. 현장 전문 인력 교육 수요는 내년 808명, 2021년 905명, 2022년 1039명, 2023년 1146명, 2024년 1268명으로 예상한다.

충전표준 개발, 충전소 안전관리 모니터링 등 수소 생산-운송-저장-활용 전 주기에 먼저 필요한 안전관리 10대 핵심기술을 개발하고, 수소 각료회의·수소 강국과 협력을 통한 안전 관리 노하우도 공유하기로 했다.

성윤모 산업부 장관은 “국민이 안심할 수 있도록 전문가, 관계부처, 수소업계 현장 등에서 제기하는 안전관리상의 문제점을 토대로 수소 생산, 운송·저장, 활용 전 주기에 걸쳐 ‘수소 안전관리 종합대책’을 마련했다”며 “수소산업 육성을 통해 일자리를 창출하고, 안전문화 확산과 사고 예방 능력 제고로 안정적인 사업 환경이 조성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