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장 수술 후 ‘운동’이 답이다…꿀팁은?

2019-12-23 09:22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심혈관질환을 앓고 난 후 심장의 안정을 위해 움직임을 자제하며 절대 안정을 취하는 것이 나은가. 힘들더라도 운동을 하는 것이 나은가.

정답은 적당한 운동이다. 그렇다고 무턱대고 운동을 시작했다가는 갑작스러운 변화에 가슴 통증, 실신 등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운동 시작 전 병원을 찾아 자신의 능력과 상태를 파악한 후 서서히 시작하는 것이 중요하다.

심장재활이란 심혈관질환자의 건강 회복과 심폐 능력 증진을 위한 치료 과정을 말한다. 환자의 상태에 따라 개별화된 운동 프로그램이 처방되며, 위험인자들에 대한 교육, 관리 프로그램도 함께 진행된다. 심장재활은 심장 기능의 회복 속도를 높여 줄 뿐 아니라 운동 능력 개선과 정서적 안정감 형성, 삶의 질 향상에도 도움이 된다.

소윤수 경희대학교병원 재활의학과 교수는 “심근경색 환자 중 재활치료를 받은 환자는 그렇지 않은 환자에 비해 최대 45%까지 사망률이 감소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며 “특히 관상동맥우회술, 판막 치환 수술을 받은 환자는 심장재활을 통해 사망률을 절반 이상 줄일 수 있다”고 강조했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심장재활은 급성기 치료가 끝난 후부터 시작한다. 처음에는 병실 복도 걷기, 낮은 강도의 관절 운동부터 진행한다. 어느 정도 회복되면 운동 부하 검사를 실시해 환자의 운동 능력을 평가한다.

운동 부하 검사는 운동 시 혈압, 맥박, 심전도, 최대 산소 섭취량을 분석해 환자의 심장과 폐 기능을 평가하는 검사를 말한다. 운동을 할 때는 반드시 측정된 능력치보다 낮은 강도부터 서서히 시작해야 한다.

퇴원 후에도 일정 기간 동안은 심장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주치의 관찰 하에 통원하며 운동치료를 받아야 한다. 이후 안전한 상태가 되면 일상에서도 운동할 수 있도록 환자 맞춤형 운동 처방을 받는다.

일상생활 운동은 준비 운동, 심폐지구력 증진 운동, 정리 운동으로 나눠 진행해야 한다. 주 3회 이상, 하루 40~60분 정도 실시하는 것이 좋다.

우선 본격적인 운동 전에 심장과 근골격계가 적응할 수 있도록 준비 운동을 한다. 이는 유연성을 높이고, 근골격의 경직을 감소시켜 부상 및 부작용을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

심폐지구력 증진 운동은 대표적으로 트레드밀 걷기, 실내 자전거 타기, 간단한 계단 오르내리기 등이 있다. 아령, 기구 등을 이용한 근력운동도 가능하다. 다만 발병 12주 이내의 급성기 환자나 아직 안정화되지 않은 환자는 병원에서 몸 상태를 관찰하면서 진행해야 한다.

운동 후 긴장된 근육을 이완시키고 심장 박동을 안정화시키기 위해 정리 운동으로 마무리한다.

소 교수는 “운동 전에는 과식과 알코올, 커피, 홍차 등을 피하며, 꽉 끼지 않는 편안한 복장을 입는 것이 좋다”며 “약물을 바꿨을 때는 평소보다 더 낮은 강도로 운동을 시작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