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5G 주파수 공급 늘리고 5G급 와이파이 제공한다

2019-11-27 17:21
과기정통부, '5G+ 스펙트럼 플랜' 공개 토론회 개최
비면허 주파수에 6GHz 대역 공급… "융합서비스 확대에 필수"
5G 주파수 대역폭 2026년까지 중저대역 920MHz·고대역 4400MHz 확장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5G 융합서비스'의 확산을 위해 와이파이(Wi-Fi)와 같은 비면허 주파수 기술을 5G 수준으로 끌어올린다. 5G 주파수는 2026년까지 2배로 확보하기로 했다.

과기정통부는 27일 이 같은 계획을 담은 '5G+(플러스) 스펙트럼 플랜'을 발표하고 산학연 관계자의 의견 수렴을 위한 공개 토론회를 개최했다.

과기정통부는 지난 4월 5G 이동통신 상용화와 함께 '5G플러스 전략'을 수립했다. 이번에 공개되는 스펙트럼 플랜은 5G플러스 전략을 뒷받침할 수 있도록 5G 품질을 높이고 5G 전략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는 게 목표다. 

먼저 차세대 와이파이(Wi-Fi)에 비면허 5G용으로 6GHz 대역 비면허 주파수를 공급한다. 정영길 과기정통부 주파수정책과장은 "5G 주파수가 대동맥이라면 비면허 주파수는 혈관에 해당한다"며 "5G와 비면허 주파수의 균형잡힌 공급이 있어야 5G 융합서비스가 성공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6GHz 대역은 미국은 비면허 중심, 중국은 5G 주파수를 확보하려는 움직임을 보이면서 이슈로 떠오른 바 있다.

그러나 올해 이집트에서 열린 국제전파통신회의(WRC-19)에서 해당 대역은 이미 위성에서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4년 후 열리는 회의에서 100MHz폭만 차기 의제로 설정됐다. 과기정통부는 비면허 중심으로 운영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2022년 상용화를 목표로 결정할 계획이다.

또한 2026년까지 단계적으로 최대 2640MHz폭의 주파수를 추가 확보해 5G 주파수를 2배 확대한다. 현재 중저대역 280MHz, 고대역 2400MHz 폭의 주파수가 확보된 상황이다. 이를 2021년에는 4550MHz폭(중저대역 750MHz·고대역 3800MHz)까지 확대하고 2026년에는 5320MHz(중저대역 920MHz·고대역 4400MHz)으로 확장한다.

중저대역은 위성 서비스 대역이전, 와이브로 종료 후 회수된 대역, LTE 주파수 재할당 등을 활용한다. 위성 서비스 이용자와 5G의 공존을 위해 위성수신 보호지역(클린존)을 도입한다.

고대역은 현재 할당된 28GHz와 인접한 대역을 우선 확보하고 중장기적으로 24GHz, 37GHz 이상 대역으로 확대한다.

또한 기존의 회수 후 재배치 방식으로는 신규 주파수를 확보하는 데 한계가 있는 만큼 공동사용 확대 등 주파수 이용의 패러다임을 전환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7일 서울 중구 부영빌딩에서 '5G+ 스펙트럼 플랜' 공개 토론회를 개최했다. [사진=아주경제 윤경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