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론] '특별시민' 자존심 살리는 박원순 서울시장 파격은?

2019-11-04 19:03

[사진=구동본 기자]


서울시장은 대권주자가 거치는 필수코스로 인식된 지 오래다.

1995년 지방자치제 도입 후 선출직 시장 5명 모두가 대선후보를 지냈거나 대선주자로 거론됐다. 그중 이명박 전 시장은 대통령까지 됐다. 선출직 초대 조순 전 한나라당 총재를 비롯해 고건 전 총리, 오세훈 전 한나라당 최고위원은 유력 대선주자로 꼽혔다. 박원순 현 시장도 한때 대선주자 지지율 1위를 기록한 적이 있다.

정치권에서 내로라하는 인사들이 대권 꿈을 안고 서울시장에 도전했다. 김민석·강금실·한명숙·나경원·정몽준·김문수·안철수·박영선 등이 그랬다.

서울시장이 대권수업 자리로 인식된 건 그만한 이유가 있다. 서울시는 중앙행정의 축소판이다. 대한민국 전체 인구의 5분의1을 시민으로 두고 있다. 여론 주도층이 몰려 있는 곳이다. 그래서 국가 지도자로서 국정 전반을 경험할 수 있다. 민심을 선점하는 데도 유리하다.

서울시장은 장관급으로 차관급인 다른 시·도 지사와 격이 다르다. 박원순 시장은 그런 서울시장 자리에 무려 세 번이나 뽑혔다. 선출직 3선 서울시장은 박 시장이 역대 처음이다. 그러나 박 시장의 대선주자 지지율은 현재 4% 안팎이다. 7%대를 기록하고 있는 이재명 경기지사보다 낮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특별시민’으로서 자존심이 상한다는 서울시민들도 있다. 서울시장으로 세 번을 뽑아준 박 시장의 대선주자 지지율이 저조한 게 안타깝다는 것이다. 

대선주자 지지율 저조에 대해 박 시장 본인으로선 나름 변명의 여지가 있다. 현 37대 시장 임기가 시작된 지 이제 불과 2년 차다. 2022년 대선까지도 앞으로 2년 이상 남았다. 경제와 민생이 그 어느 때보다 어렵다. 진영 간 갈등과 대립이 광장을 메우고 있다.

서울시장은 수도 서울의 행정 최고 책임자다. 그러니 지금은 시정을 챙기는 데 전념할 때라고 박 시장 측은 주장할 수 있다. 대선을 염두에 둔 행보를 자제할 수밖에 없다는 점도 핑곗거리다. 상황에 따라 변화무쌍한 지지율에 개의치 않는다며 느긋한 모습을 보이는 것도 가능하다. 실제로 박 시장 자신도 이런 변명에 동의한다.

박 시장 주변에선 요즘 여권 라이벌들이 사실상 대권경쟁에서 멀어진 것 아니냐고 한다. 박 시장은 가만히 있는데 경쟁자들이 자살골을 넣어 스스로 무너지고 있다는 것이다. 누구를 콕 찍어 거명하지 않았다. 그럼에도 말의 맥락으로 보면 그 경쟁자 그룹에서 조국 전 법무부 장관이 빠지지 않는다. 재판을 받았거나 재판 중인 이재명 경기지사, 김경수 경남지사, 안희정 전 충남지사 등도 마찬가지다.

하지만 박 시장의 대선주자 지지율이 이들보다 결코 낫다고 할 수 없다. 그렇다고 박 시장 직무수행 지지율이 높은 게 아니다. 여론조사기관 리얼미터가 조사한 9월 그의 지지율은 45.4%에 그치고 있다. 지난해 6·13 서울시장 선거 때의 득표율 62.8%에도 한참 모자란다.

그도 그럴 것이 지난 8년간 박 시장의 뚜렷한 리더십을 찾을 수 없다. 대권주자로서뿐만 아니라 시 행정 최고 책임자로서도 그렇다. 검찰개혁 등 주요 현안에서 언제나 뒷북이었다. 여권 내 세력 구도상 소수파로서 주류 눈치를 볼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시 행정에서도 박원순표 대표정책으로 꼽을 만한 게 잘 보이지 않는다. 박 시장은 그런 잣대로 평가하는 것을 “과거 정치의 생각”이라고 했다. “청계천처럼 한 가지만 했다고 평가받는 시대는 지나갔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지금 대세는 시민의 행복과 삶의 질을 챙기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사실 박 시장 시대, 서울은 복지 등 소소한 부분에서 많이 달라졌다. 삶이 나아졌다고 평가하는 시민들이 적지 않은 것도 이 때문이다.

그러나 박 시장의 역점사업이었던 광화문광장 재조성 추진 과정을 보자.

처음엔 충분한 소통 기회를 가졌다며 시민단체·행정안전부 등의 반대에도 강행할 태세였다. 그러다 느닷없이 문재인 대통령과 면담을 갖고 물러섰다. 박 시장은 이를 스스로 ‘결단’, ‘용기’, ‘정면돌파’라고 했다. 하지만 지도자로서 그런 처신이 지지율에 얼마나 도움이 됐을지 의문이다. 그 의문은 재검토의 옳고 그름과는 별개다.

박 시장이 대선주자든 직무수행이든 지지율을 다시 회복하려면 파격이 필요하다. 그 파격은 시대 정신에 맞는 이슈를 개발해 변화와 혁신을 주도하는 리더십 발휘에서 나온다. 자신만의 고유 브랜드 정책을 만들어 추진하는 것도 박 시장에게 긴요하다. 기존 정책의 단순 확장만으론 한계가 있다. 최근 선심행정, 예산퍼주기 논란을 일으킨 청년수당과 신혼부부 주거지원 등이 대표 사례다.

박 시장에겐 지금이 서울 특별시민의 긍지를 살리고 대권 도전의 희망을 살리는 중요한 고비다. 그가 진지한 고민과 자세 전환을 통해 그 기회를 놓치지 않기를 바라는 목소리에 귀를 기울였으면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