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o?] 대일 협상 나선 ‘지일파’ 이낙연 총리…한일 갈등 돌파구 마련하나

2019-10-22 04:00
22~23일 일왕즉위식·궁정연회·아베 총리 연회 참석, 24일 아베와 별도 면담
동아일보 도쿄 특파원, 한일의원연맹 활동 등 현 정부 내 대표 '지일파' 인물
최장수 총리·차기 대권주자 1위… 방일 결과따라 정치적 존재감 더 부각될 듯

이낙연 국무총리를 필두로 22~24일 방일 일정에 나서는 정부 대표단의 발걸음에 한·일 양국의 시선이 집중된다. 

정부 내 대표 ‘지일파(知日派)’로 구성된 방일 대표단은 강제징용 배상, 수출규제, 한·일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지소미아) 종료 등 현안에 일관된 입장을 보인 일본의 마음을 움직여 양국관계 개선의 물꼬를 튼다는 각오다.

이번 방일 대표단은 ‘일본통(通)’으로 불리는 이 총리를 중심으로 조세영 외교부 1차관, 정운현 비서실장, 이석우 공보실장 등 일본을 잘 아는 참모들로 이뤄졌다. 당장 한·일 갈등의 구체적 해법을 찾기보다는 지일파 인사 파견으로 일본 정·재계 인사들의 마음을 움직여 양국관계 개선의 분위기를 조성하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한·일관계 해결사'로 나선 이 총리는 22일 오후 1시 일왕 거처인 고쿄(皇居)에서 열리는 일왕 즉위식에 남관표 주일대사와 함께 참석한다. 하지만 저녁에 열리는 궁정연회에는 혼자 참석한다.

이 총리가 궁정연회에 혼자 참석하나 연회장에 일·영 통역만 제공되는 등 여러 상황이 긍정적인 신호로 해석되고 있다. 기자시절 도쿄 특파원, 국회의원 시절 한·일의원연맹 간사장과 수석부회장 등을 역임해 일본어에 능숙하다. 이 총리가 일본어로 일왕과 직접 대화를 나누고, 이 자리에서 일왕에게 한국 방문을 제안하는 등 양국 우호 증진의 기회로 삼을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또 이 총리와 나루히토 일왕과의 인연도 주목할 부분이다. 지난해 3월 브라질에서 열린 세계물포럼에서 만난 두 사람은 양국 관계 개선에 대한 의지를 확인한 바 있다. 당시 왕세자였던 나루히토 일왕은 “역사를 공부하는 사람으로서 과거를 반성하는 바탕 위에서 좋은 관계가 구축되길 바란다”며 군국주의를 강조했던 쇼와(昭和) 시대 히로히토(裕仁) 일왕과는 다른 역사관을 드러냈다. 

이 총리가 문재인 대통령의 친서를 들고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와 별도 면담을 진행하는 것도 같은 맥락으로 해석된다. 두 총리는 24일 오전 ‘10분+알파(α)’의 짧은 면담을 할 예정이다. 이 때문에 현재 한·일 양국이 직면한 현안에 대한 구체적인 합의점을 찾기 어렵다는 관측도 있다.

그런데도 두 총리의 면담에 거는 기대는 크다. 공적·사적으로 여러 차례 만나 개인적인 인연이 깊은 두 총리가 만나는 것만으로도 양국 관계 개선에 일정 부분 도움이 된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일본 언론도 이 총리의 역할에 큰 기대감을 나타냈다. 아사히는 이 총리를 ‘문 대통령의 신뢰가 두터운 현 정부 내 최고의 지일파’라고 소개하며, 그가 도쿄 특파원 당시 아키히토(明仁) 전 일왕의 즉위 의식에 참석했다는 것을 강조했다. 

이 총리의 방일 결과는 향후 그의 정치적 행보에도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차기 대권주자 1위 자리를 지키고 있는 데다 오는 28일이면 대통령 직선제 도입 이후 최장수 국무총리가 되는 그가 방일 결과물로 한·일 정상회담 등을 들고 온다면 정치적 존재감이 한층 더 부각될 것으로 보인다.
 

이낙연 국무총리. [사진=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