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치형 두나무 의장 "블록체인 시장 변화 위해 '증명'·'협업' 필요"

2019-09-04 13:01
'블록체인, 서비스 시대를 열다' 주제로 기조 연설 진행


"암호화폐·블록체인 시장은 여전히 불확실성이 존재합니다. 그러나 블록체인을 대중화하기 위해 이미 다양한 시도를 해왔고, 앞으로 금융뿐 아니라 엔터테인먼트, 모빌리티 등과의 협업을 통해 새로운 가치를 제공할 것이라고 확신합니다."

두나무 설립자 겸 개발자인 송치형 의장은 4일 그랜드 하얏트 인천에서 열린 '업비트 개발자 컨퍼런스'(UDC 2019)에서 "조만간 블록체인도 서비스 경쟁 시대에 진입할 것"이라며 "그동안 개발된 블록체인 플랫폼, 서비스들이 그 증명"이라고 이같이 말했다.

송 의장은 "업계의 불확실성에도 △기존 제도권 금융권의 시장 진출 △국내외 주요 인터넷 플랫폼 강자의 블록체인 사업 전개 △제조 대기업·유통사·명품 회사들의 블록체인 서비스 도입 등은 좋은 신호"라고 해석했다.

최근 발표된 국제자금세탁방지기구(FATF)의 암호화폐 관련 최종 규제 권고안 역시 암호화폐와 거래소가 법적인 지위를 갖추게 되는 기반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블록체인을 대중화하기 위한 각 프로젝트들과 업계의 노력도 가시화되고 있다.

그는 "현재 블록체인은 마치 초기의 PDA처럼 혁신적인 기능은 많지만, 서비스 가치를 입증하지는 못하는 단계"라며 "변동성과 확장성 문제 해결뿐 아니라 보상을 통한 데이터 획득, 다자간 이해관계 조정 같은 문제가 해결돼야 블록체인만의 가치를 획득하고 서비스 대중화가 가능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 두나무에서는 현재 △거래소 컴플라이언스 강화(은행권 수준의 고객신원인증 및 자금세탁방지 체계 구축) △기업용 암호화폐 관리 서비스 도입(업비트엔터프라이즈, 업비트세이프) △블록체인 및 핀테크 기업에 약 605억원 투자 △블록체인 서비스 플랫폼 루니버스 론칭 △블록체인 컨설팅 등을 진행하고 있다.

송 의장은 "더 많은 개발자, 더 많은 기획자, 더 많은 AI 전문가, 더 많은 IoT 전문가들이 모여 토론하고 협업해 새로운 가치를 만들어 내야 한다"며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이 오픈소스 프로젝트이듯 암호화폐와 블록체인 역시 AI, IoT 등과 협업해 하나의 거대한 오픈소스 프로젝트가 되길 희망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UDC는 두나무가 지난해부터 개최한 블록체인 개발자 중심의 컨퍼런스로 세계 각국에서 모여든 블록체인 전문가들과 참가자들이 함께 정보를 공유하고 소통하는 행사다. 지난해에는 제주도에서 '개발자 증명'이라는 주제로 진행됐으며, 올해는 '서비스 증명'을 슬로건으로 인천에서 5일까지 열린다.

[사진=두나무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