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정의 회장의 조언이 통했다'...10월 AI 국가전략 발표

2019-09-04 15:54
이낙연 총리, 4일 아주경제 GGGF 행사서 축사 참석...10월 AI 국가전략 마련 언급
홍남기 부총리, 이날 경제활력대책회의서 "소상공인과 빅데이터·AI 융합 지원책 내놓을 것"

"첫째도 둘째도 셋째도 AI(인공지능)입니다." 지난 7월 손정의 소프트뱅크 회장이 대한민국에 건넨 조언이 10월 구체화된다. 정부가 다음달 AI 국가 전략을 내놓기로 했기 때문이다.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이어받아 미래 산업을 확보하고 국가경쟁력을 키울 수 있는 AI 청사진이 마련될 것으로 보인다. 미래를 위한 본격적인 설계가 마무리됐다는 얘기다.

뿐만 아니라 그동안에는 IT 산업 분야에 국한된 AI에 초점이 맞춰졌다면, 향후 국가 전략에서는 소상공인 지원을 비롯해 일상 생활 전반에 접목될 수 있는 AI가 구현될 수 있는 방안도 함께 제시될 것으로 기대된다. AI의 대중화를 이끌어낼 수 있을지도 관건이다.
 

이낙연 국무총리가 '2019 GGGF'에 참석해 축사를 하고 있다.[유대길 기자, dbeorlf123@ajunews.com]


이낙연 총리는 4일 서울 플라자호텔에서 열린 ‘제11회 아주경제 GGGF(Good Growth Global Forum)’에서 "정부는 AI 포함한 4차 산업혁명 신기술 발전에 따라 일자리를 마련할 뿐 아니라 삶의 질 높이는 데 힘을 쏟을 것"이라며 "이미 AI 국가 전략을 완성했고 10월에 발표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총리는 "4차 산업혁명의 핵심은 인공지능"이라며 "경제, 산업 등 분야뿐만 아니라 인간의 일상까지 전면적으로 바꿀 것이며 인류 역사상 최대의 혁명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총리는 "정부의 내년도 예산안은 AI와 빅데이터, 네트워크 분야에 1조7000억원을 투자하도록 계획했다"며 "시스템반도체, 바이오헬스, 미래자동차 산업에는 3조원을 투입한다"고 전했다. 이와 함께 그는 "세계 최초로 상용화한 5G(5세대) 기술을 공공서비스에 적용하는 프로젝트를 확대하고, AR(증강현실)과 VR(가상현실) 콘텐츠 개발도 지원할 것"이라고 전했다.

그는 또 "AI는 현저한 빛과 그림자를 동반할 것이며 인간 소외와 불평등 역시 수반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 총리는 "빛을 키우고 그림자를 줄이는 게 인류에게 요구된다"며 "이에 EU(유럽연합)은 AI 관련 윤리 가이드라인을 마련했다"고 덧붙였다.
 

기획재정부는 지난 1월 데이터와 AI 산업 육성을 위해 2023년까지 데이터 시장규모를 30조원으로 끌어올리고 빅데이터 센터 100곳, 빅데이터 플랫폼 10곳, AI 허브 조성에 나서기로 했다.[연합뉴스]


이미 정부는 올해 초 플랫폼 경제 기반을 갖추는 등 AI에 대한 정책 방향을 설정한 바 있다. 

지난 1월 기획재정부는 제1차 혁신성장전략회의를 통해 데이터와 AI를 ‘세계에서 가장 안전하게 잘 다루는 국가’로 도약하기 위해 오는 2023년까지 데이터 시장규모 30조원 달성, AI 유니콘기업 10개 및 데이터・AI 융합인재 1만명 육성을 목표로 해당 분야에 집중 투자한다는 계획을 내놓기도 했다. 또 내년 예산에도 DNA(Data, Network, AI) 고도화를 통한 경제활력 제고방안을 통해 관련 사업을 추진해나갈 예정이다.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4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22차 경제활력

대책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특히,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장관 역시 이날 경제활력대책회의를 주재, 빅데이터와 AI에 대한 대책 마련을 예고했다. 

홍 부총리는 "소상공인의 온라인 진출 및 스마트화를 촉진하는 등 소상공인 추가지원방안을 조만간 확정·발표하겠다"며 "1인 소상공인 미디어 플랫폼 구축 등으로 소상공인의 온라인 지출 및 스마트화를 촉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보통신기술(IT)을 주력 산업에 적용했던 것에서 소상공인의 소득을 높이고 소비자들의 편의를 높이는 측면에서 데이터와 AI 기술이 활용될 수 있다는 얘기다. 더구나 일상 전반에 걸쳐 AI 기술이 접목될 수 있도록 관련 인재 양성에도 향후 예산을 집중시킬 것으로 보인다. 높은 수준의 기술 분야에 집중된 인재뿐만 아니라 인문학을 비롯한 다양한 학문에 이르기까지 AI 기술이 접목될 수 있는 시장 분위기 형성에도 정부는 대책을 내놓을 것으로 예상된다.

서비스산업 발전기본법, 개인정보 보호법 등 데이터 3법이 국회에 계류돼 있는 상황에서 향후 원활한 AI 활용을 위해 정부가 행정부 차원의 입법 보완대책도 적극 이행해 나갈 계획이다.

기획재정부 한 고위 관계자는 "손정의 회장이 문재인 대통령을 방문해 AI를 강조한 이후 정부도 속도를 내서 전략 방안을 준비하고 있다"며 "4차 산업혁명시대 속에서 혁신성장 분야에도 AI를 확대시켜나가 우리나라의 새로운 먹거리 산업을 창출할 뿐 아니라 산업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중요한 요소"라고 강조하기도 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관계자도 "서두르면 10월이 될 수 있으며 (AI 국가전략)에 대한 내용을 정리하기 위해 조속히 준비중"이라며 "기존의 플랫폼 경제, 데이터 산업 등과 함께 내년 사업에만 국한되기보다는 향후 우리나라의 AI 산업 발전에 대한 방향성을 내놓는 차원"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신동렬 성균관대 총장은 AI 기술 접목에 앞서 AI의 대중화가 국가 경쟁력 확보를 위해 절실하다는 점을 강조하기도 한다. 신 총장은 "AI가 대중화되기 위한 교육과 인재양성 노력이 필요하다"며 "이공계 분야를 넘어 인문학, 예술 등 모든 분야에서 AI를 필요로 할 것이어서 국가 차원에서 적극적인 지원이 있어야 한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