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 窓으로 경제보기 <21>​] 참모들의 쓴소리는 조직 발전의 보약

2019-06-05 09:45

[김수인 스포츠 칼럼니스트]


미국-일본-중국과의 외교, 북한과의 관계, 소득주도성장․탈(脫)원전 등 현 정부의 많은 정책들이 전문가들로부터 궤도 수정을 요구 받고 있다. 그렇지만 대통령은 오불관언(吾不關焉), ‘마이웨이’다. 여론과 동떨어진 정책 집행은 대통령의 아집이 세거나 참모들(청와대 수석및 내각)이 제대로 조언을 하지 않은 탓으로 보인다.

조선시대의 수많은 충신들의 예를 들지 않더라도 주군(主君)의 판단이 흐릴 때는 자신의 안위를 떠나서라도 강력하게, 과감하게 건의를 하는게 아랫사람의 도리다. 그렇지만, 현재 청와대 수석진과 내각은 대통령의 심기를 건드리지 않는 ‘복지부동’의 자세를 보여 여론의 비판을 받고 있다.

이는 스포츠에서도 마찬가지다. 감독이 대통령이라면 코치들은 참모들이다. 감독이 선수 기용 등 올바른 판단을 못할 때는 코치들이 좋은 의견을 제시해야 되는데 현실은 그렇지 못하다. 감독이 코치의 인사권을 가지고 있는 탓에 감독 뜻을 거스르기 힘든 상황이다.

4대 프로 스포츠중 프로야구가 가장 심하다. 프로농구와 프로배구는 코치가 두명 정도라 코치의 참모 역할이 약하다. 프로축구, 특히 국가대표팀에는 전력분석관을 포함해 코치진이 6명 정도 있지만 경기가 워낙 스피디하게 진행되는 탓에 코치가 개입할 여지는 거의 없다.

그러나, 프로야구 경기는 정지된 시간이 많아 6~7명의 분야별 코치가 마음만 먹으면 얼마든지 감독에게 건설적인 건의를 할 수 있다. 하지만 감독이 인사권을 쥐고 있는데다, 건의한 결과가 나쁘게 나오면(선수기용 실패 등) 책임감이 따르므로 입을 다물 수밖에 없다. 물론, 잘나가는 팀은 감독-코치간의 소통이 좋아 의견 수렴이 원활하게 이뤄지며 성적이 덩달아 오른다.

모 그룹의 회장은 사장단 회의때 언제나 쓴소리를 하는 A사장이 그렇게 미울 수가 없었다. “내 심기를 건드려? 저 X을 이번 연말에 잘라버려?”라고 여러번 생각하다 마음을 고쳐 먹었다고 한다. “저 친구가 나의 잘못된 판단에 대해 딴지를 거는 바람에 투자 수정을 한게 여러번 있지 않은가. 내귀에는 거슬리지만 회사에는 이득이 되니 오히려 상을 주자”고 했단다.

故 이병철 삼성그룹 회장이 “반도체가 뭐꼬?”라며 반도체 공부를 시작한게 1978년이었다. 5년 뒤인 1983년 3월 ‘도쿄 선언’을 통해 반도체 사업의 공식 진출을 선언했다.

하지만 그 5년간 삼성그룹 사장단들의 반대가 극심했다. 대부분 사장들은 “일본을 이길수 없으며 반도체 사업 실패로 인해 그룹이 망할 수도 있다”는 극언까지 서슴치 않았다. 그 쓴소리를 5년간 듣던 이병철회장은 ‘도쿄 선언’직전 사장단 회의를 열고 “그동안 반대 목소리 내준데 대해 고맙게 생각한다. 하지만 이제 반도체 진출을 결정한 만큼, 지금부터 반대하는 사람은 모두 인사조치하겠다!”

참모들(사장단)의 극심한 반대가 있었고, 회장의 용단이 있었기에 오늘날의 ‘글로벌 삼성’이 건재하고 있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