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가족, "도움·의논 요청할 상대 없어"...사회적 관계 어려움 토로

2019-05-02 12:00
여성가족부, 2018년 전국 다문화가족 실태조사 결과 발표


국내 다문화가족 중 도움 또는 의논을 요청할 상대가 없는 등 사회적 관계의 어려움을 토로하는 가구 수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가족부는 3일 전국 다문화가족을 대상으로 조사한 '2018년 전국 다문화가족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전국 다문화가족 실태조사는 다문화가족지원법 제4조에 따라 3년마다 실시하는 조사로 2009년, 2012년, 2015년에 이어 이번이 네 번째다.

 

[사진=여성가족부]



이번 조사 대상 다문화가구는 전체 30만6995가구로 추정되며 결혼이민자 가구가 85.7%(26만2969가구), 기타귀화자 가구가 14.3%(4만4026가구)이다. 우리나라 다문화가족 중 10년 이상 한국 거주자는 2009년 15.6%에서 지난해 60.6%로 크게 증가했다.

이번 조사 결과 다문화가족의 한국 생활 적응도는 높아진 반면, 사회적 관계의 어려움은 지속되는 것으로 파악됐다.

주관적인 한국어능력은 3.89점(5점 만점)으로 2015년(3.81점)보다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외국 출신이라는 이유로 차별을 경험한 결혼이민자‧귀화자 비율은 30.9%로 2015년(40.7%)에 비해 감소했다.

아울러 한국생활에 어려움이 없다는 비율(29.9%)은 2015년보다 4.2%포인트 증가했으나, 외로움(24.1%)을 어려움으로 꼽는 비율도 5.6%포인트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개인적인 문제에 대해 도움을 받거나 의논할 사람이 한국에 없다'고 답한 비율이 2015년 대비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더불어 참여하고 싶은 모임(활동)이 없다는 비율(48.5%) 또한 2015년(33.9%) 대비 14.6%포인트 증가했다.

경제 생활의 경우, 월평균 가구소득은 200만~300만원 미만이 26.1%로 가장 많았고 100만~200만원 미만 22.4%, 300만~400만원 미만 20.1%순으로 나타났다.

고용률과 상용직 비율은 2015년보다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결혼이민자‧귀화자의 고용률은 66.4%(여성 62.5%, 남성 85.3%)로, 2015년(63.9%) 대비 2.5%포인트 증가했다.

상용직 비율은 42.3%로 2015년(34.9%)보다 증가했으나 전체 근로자 중 상용직 비율(51.4%)에 비해 낮은 수준이었다.

이 연구의 책임을 맡은 최윤정 한국여성정책연구원 부연구위원은 "결혼이민자‧귀화자들은 이미 국적을 받았거나, 국민의 가족으로 함께 살아가는 우리사회의 구성원"이라며 "이번 조사 결과를 보면 결혼이민자‧귀화자는 한국어, 생활문화 등 초기 적응에는 안착했지만 정착단계로 접어들면서 다양한 사회적 관계를 발전시켜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다문화가족이 진정한 우리의 이웃으로 뿌리 내리기 위해서는 사회 전체의 포용 노력이 필요한 시점임을 보여 준다"고 말했다.

진선미 여성가족부 장관 역시 "우리와 10년 이상 함께 살아온 다문화가족이 확연히 늘어나면서, 청소년기 자녀의 증가 등 다문화사회로의 전개 양상이 변화하고 있다"며 "다문화가족을 다양한 가족의 하나로 포용하고, 특히 자녀들이 청소년기에 접어드는 만큼 이주배경으로 인한 적응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학업과 진로, 가정과 지역사회의 성장 지원 강화 등 정책적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한편, 여성가족부는 다문화가족정책 총괄부처로서 참여와 공존의 열린 다문화 사회 구현을 목표로 관계 부처와 함께 '제3차 다문화가족정책 기본계획(2018~2022)'을 수립, 추진해 나가고 있다.

특히, 전국 다문화가족지원센터(218개소)에서는 통번역 서비스, 한국어교육, 가족상담, 취업소양교육 등을 통해 다문화가족의 한국생활 정착 및 사회 참여 확대를 지원하고 있다.

향후 이번 조사결과에서 나타난 다문화가족의 장기 정착 경향을 반영해 관련 정책을 전환해 나가고, 학령기로 접어든 다문화가족 청소년들이 우리 사회의 일원으로 안정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관계부처와 협력, '이주배경 아동‧청소년 지원 방안'을 마련‧시행할 계획이다.

주요 내용으로는 다문화청소년이 동등하고 건강하게 성장하기 위한 사회적 여건을 마련하기 위해 일상생활 속에서 상호 이해와 교류를 통한 다문화 수용성 제고, 청소년기의 심리·정서 위기 지원, 학교생활 적응 및 진로역량 강화 등을 포함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