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F, 세계 경제성장률 또 하향 조정… 석 달 만에 3.5→3.3% 전망

2019-04-10 12:16

올해 세계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3.3%로 지난 1월 전망했던 3.5%에서 0.2% 하향 조정됐다. 반면 한국의 올해 경제성장률은 2.6%를 유지했다. 지난해 10월 발표됐던 전망치와 동일하다. [사진=연합뉴스]

글로벌 경기 둔화 영향으로 세계 경제성장 전망치가 석 달만에 또다시 내려 앉았다.

올해 세계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3.3%로 지난 1월 전망했던 3.5%에서 0.2% 하향 조정됐다. 반면 한국의 올해 경제성장률은 2.6%를 유지했다. 지난해 10월 발표됐던 전망치와 동일하다. 

IMF는 9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세계 경제전망(World Economic Outlook)'을 통해 올해 세계 경제 성장률을 3.3%로 전망했다. 석 달 전(지난 1월 3.5%)에 제시된 전망치보다 0.2%포인트 하향 조정된 셈이다.

세계 경제 전망은 1월·4월·7월·10월 매년 4차례 발표된다. 앞서 IMF는 올해 성장 전망치를 3.9%(지난해 7월)에서 3.7%(지난해 10월)로 낮춘 바 있다.

IMF는 "무역긴장 지속‧중국경기 둔화‧신흥시장 취약성 등 둔화된 경제 모멘텀을 반영해 성장 전망을 하향 조정했다"고 설명했다.

미·중 무역갈등의 긴장이 상존하고 있는 데다, 중국의 경제지표 둔화 우려 속에 금융시장의 투자심리가 약화했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특히 무역긴장, 금융긴축 촉발, 정치적 불확실성 리스크가 지속될 경우 전망 하향 가능성이 높다고 우려했다.

IMF는 내년 세계 경제 성장률을 3.6%로 전망했다. 2020년 이후 성장률 회복을 위해 신흥국의 안정적인 거시경제 운용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국제적 공조가 더해져야 하고, 경제상황 악화 때보다 확장적 재정·통화정책이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이와 함께 영국이 아무런 완충장치 없이 유럽연합(EU)에서 탈퇴하는 '노 딜(No Deal) 브렉시트' 가능성, 이탈리아 재정위기 등을 하방 위험 요인으로 꼽았다.

미국과 중국의 올해 성장 전망치는 각각 2.3%, 6.3%로 전망했다. 지난해부터 세계 경제는 주기적·구조적 요인이 결합돼 성장이 둔화되고 있다. 이는 미국 정부의 감세정책 효과(경기부양 효과)가 줄어들고 있기 때문이다. 중국은 구조조정을 하면서 성장률이 하락하고 있다. 아울러 △독일 0.8% △프랑스 1.3% △이탈리아 0.1% △스페인 2.1%로 전망했다. 이러한 유로존 성장둔화를 이유로 선진국 성장 전망치를 2.0%에서 1.8%로 0.2%포인트 내렸다.

신흥 개도국의 성장전망도 4.5%에서 4.4%로 0.1%포인트 내려 잡았다. 인도에 대해선 7.3% 성장률을 제시했고 러시아의 성장 전망치는 1.6%를 유지했다. IMF는 한국의 올해 경제성장률을 기존 전망(지난해 10월)과 동일한 2.6%로 유지했다. 내년 경제 성장률은 2.8%로 내다봤다.

앞서 IMF는 한국경제와 관련해 경고음을 울렸다. IMF는 지난해 10월 한국의 성장률(2019년)이 2.6%로 하락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미중 무역 분쟁, 브렉시트(영국의 EU 탈퇴), 일자리 감소 등 대내·외 악재 때문이다.

IMF는 또 지난달 12일 연례협의 후 기자간담회에서 정부의 성장률 목표(2.6∼2.7%) 달성이 가능하다면서 전제조건으로 대규모 추가경정예산(추경)을 거론했다. 즉 GDP의 0.5%(약 9조원)를 초과하는 추경 없이는 그만큼 성장이 어렵다고 평가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