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주택시장 향방은… 집값 오를까, 내릴까

2019-04-01 12:23
올해 준공물량 많아 매매·전세 모두 하락요인

  [제공=국토연구원]

국내 부동산시장이 '거래 절벽'을 넘어 본격적인 냉각기로 접어들고 있습니다. 새 보금자리에서의 출발을 알리는 이사는 마냥 설레고 즐거워야 하겠지만, 요즘 시기에는 마냥 그렇진 않습니다. 시중은행의 대출은 막히고, 살던 집은 팔리지 않으면서 중도금이나 잔금을 치르기 조차 버겁기 때문이다. 그야말로 '비자발적 거래 포기'란 말이 들어맞는 상황입니다.

실수요자나 투자자 모두에게 올해 주택시장 향방이 무척이나 궁금할 것입니다. 결론적으로 상승·하락 요인이 병존하는 가운데 하락장을 점치는 전문가들이 많습니다. 정부출연기관인 국토연구원의 자료를 보면, 세계경제 불확실성이 확대되는 가운데 국내경제 역시 둔화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장기화되고 있는 미·중 무역갈등을 대표적 원인으로 꼽습니다.

특히 2019년 입주예정 아파트는 총 39만2000가구로, 전년(44만3000가구)대비 다소 줄어들지만 예년과 비교했을 땐 높은 수준입니다. 이처럼 준공 물량이 많아 매매·전세가격은 하향 조정될 수 있다는 분석입니다. 아울러 2017년 '8·2 대책', 2018년 '9·13 부동산대책' 등으로 투자수요가 위축된 가운데 '3기 신도시' 발표로 공급불안 심리 완화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반면 업계에선 재개발·재건축 같은 정비사업과 도시재생뉴딜 활성화, GTX(수도권광역급행철도) 등 SOC(사회간접자본) 투자 확대, 남북관계 개선이 상승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내다봅니다. 국토연구원 측은 지역별 흐름을 살펴보는 것도 중요하다고 언급합니다. 예컨대 울산·경남·경북 등지는 다소 떨어지고, 세종·서울·광주 등에서 오를 수 있다는 게 그것입니다.

구체적 수치를 살펴보면 주택 매매가격은 전국과 지방이 각각 0.5%, 1.1 내외 하락, 수도권에서 보합세를 나타낼 것으로 전망합니다. 매매거래의 경우 금융규제, 세부담 등으로 위축되며 2010년대 초반 수준인 78만 가구 내외라고 집계했습니다. 이외 미분양 물량은 증가세가 크지 않으나, 역시 지역별로 차별화 심화 가능성을 예고하고 있습니다.

이에 전문가들은 △지역별로 맞춤형 정책 일관성 유지와 지방자치단체의 역할 강화 △시장에 대한 세부적 모니터링으로 정책 강도 조절 및 지역산업 안정방안과 연계 △주거정책 공공성 강화로 임차인 보호강화, 양극화 해소 지속 등을 제안합니다. 내 집마련이나 기대했던 이사의 꿈을 현실로 이루고자 한다면, 공공과 민간 모두의 노력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고 생각됩니다.
 

[제공=아이클릭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