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연구원 "공공임대주택, 지방정부 중심의 민·관이 함께하는 체계로 전환해야"
2019-01-20 09:38
수급 불균형, 새로운 주거지원 수요층 부각 등으로 기존 공급체계 혁신 필요
저출산·고령화 등 공공임대주택 정책을 둘러싼 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중앙정부 주도의 기존 공공임대주택 공급체계에서 지방정부와 민간의 참여를 확대하는 새로운 공급체계로의 전환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경기연구원은 20일 공공임대주택 현황과 변화하는 정책 환경을 살펴보고, 공급체계의 방향과 전략을 제안한 ‘새로운 길을 찾는 공공임대주택’ 보고서를 발표했다.
1963년 '공영주택법' 제정 이후 우리나라의 공공임대주택은 꾸준히 성장, 2016년 현재 135.8만호의 공공임대주택을 보유하고 있다. 양적 수준을 비교하면 주요국들과 견주어도 크게 뒤지지 않는 수준이다.
2012년 기준 공공임대주택에 실제 입주한 계층의 72.2%는 소득 4분위 이하 저소득층이 대다수를 차지했다. 소득 1~2분위가 41.1%로 가장 많았으며, 3~4분위(31.1%), 5~6분위(19.2%) 등의 순이었다.
중앙정부 주도의 공급정책으로 인해 단기간에 많은 물량을 확보하는 성과는 거뒀지만, 공공임대주택의 지역·사회적 수급의 불균형은 심화됐다. 최근 10년간(2007~2016년) 경기도에는 전체 공공임대주택의 35.6%(40.8만호)가 건설된 반면, 주거지원 수요가 집중된 서울에는 13.7%(15.8만호)가 공급됐다.
공공임대주택 공급의 재구조화 전략으로는 △중앙정부 주도 공급에서 지방정부 중심의 공급체계로 전환 △비영리 등 민간 공급주체 육성과 민간재원을 활용할 수 있는 공급체계로 전환 △수요가 있는 도심 내 공급을 확대하려는 노력 증대 △민간이 공급하는 저렴한 임대주택과 기존 공공임대주택을 포괄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으로 ‘공익임대주택’ 도입 등을 제안했다.
봉 선임연구위원은 “향후 공공임대주택의 안정적인 공급을 위해서는 주택정책의 지방화와 민간의 참여 확대를 전제한 공급체계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며 “이를 통해 서민층의 주거문제 해소뿐 아니라, 중소규모의 시행·설계·시공자들에게 지역경제를 활성화 시킬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