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년 기자회견] 文대통령, 집권 3년차 국정방향 발표
2019-01-10 06:29
100분간 생중계… 靑 본관서 회견문 발표·영빈관서 문답
'혁신적 포용국가' 이행 위한 구체적 정책 제시될 가능성
TV생중계 공식기자회견은 100일 기자회견 포함 세 번째
'혁신적 포용국가' 이행 위한 구체적 정책 제시될 가능성
TV생중계 공식기자회견은 100일 기자회견 포함 세 번째
기자회견 방향은 경제와 사회 안전망 확보에 초점이 맞춰질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해 고용 지표가 하락하는 등 민생경제 악화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또 기자들과의 즉석 문답에서 어떤 장면이 펼쳐질지 이목이 집중되는 상황이다. 외교 안보 분야에서는 최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4차 방중 배경에 대한 질문도 빠지지 않을 것으로 관측된다. 여기에 한·일 간 갈등 해결 방안에 대한 질문 역시 예상 가능하다.
사회안전망을 만들어 소득주도성장 추진을 뒷받침하는 한편, 혁신 역량을 강화하는 사회적 기반을 만들어 경제 성장 동력인 혁신성장이 제대로 성과를 낼 수 있게 하는 구체적 로드맵을 제시하겠다는 것이다.
문 대통령이 TV로 생중계되는 공식 기자회견을 하는 것은 2017년 8월 17일 취임 100일 기자회견을 포함해 이번이 세 번째다. 회견은 100분간 진행된다. 청와대 본관 1층에서 20분간 기자회견문을 먼저 발표한 뒤 10시25분부터 영빈관에서 일문일답을 포함한 기자회견을 펼친다.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질문자와 내용에 대한 사전 조율 없이 대통령이 즉석에서 기자를 지목해 질문에 답하는 형태로 이뤄진다. 일부 질문에 한해서는 기자들의 재질문도 허용할 예정이다.
회견장에는 문 대통령을 중심으로 내·외신 기자 200여석 규모의 자리가 부채꼴 모양으로 마련된다. 노영민 신임 비서실장과 김수현 정책실장, 정의용 국가안보실장 등 3실장과 수석비서관들도 배석한다. 이들은 작년과 달리 별도의 참모진 구역에 앉지 않고 기자들 사이 곳곳에 자리할 예정이다.
한편 문 대통령은 지난해 신녀사에선 "30년이 지난 옛 헌법으로는 국민의 뜻을 따라갈 수 없다. 국민의 뜻이 국가운영에 정확하게 반영되도록 국민주권을 강화해야 한다"며 "국민의 기본권을 확대하고, 지방분권과 자치를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한 바 있다.
문 대통령은 한반도 평화정착 의지도 강조했었다. 당시 판문점 평화의집에서 2년만에 남북 고위급 회담이 열린 것이 신년사에도 영향을 준 것으로 해석된다. 문 대통령은 "한반도 비핵화는 평화를 향한 과정이자 목표다. 남북이 공동으로 선언한 한반도 비핵화가 결코 양보할 수 없는 우리의 기본 입장이다"며 "한반도에 평화의 촛불을 켜겠다. 전쟁 걱정 없는, 평화롭고 안전한 일상을 만들어 가겠다"고 밝힌 바 있다.
역대 대통령 기자회견 '변천사'는 어떨까. 대통령이 새해에 기자회견을 여는 건 박정희 대통령 때부터 시작됐다. 국회에서 연설을 통해 새해 국정 운영 방향을 설명하던 기존 방식에서 벗어나 1968년 처음으로 기자회견을 도입했다. 정해진 질문을 기자들에게 배당했고 대통령은 준비된 답변을 내놓는 형식이었다.
전두환 정권 때는 오히려 후퇴했다. 집권 초기에는 국정연설로 대신했고 1985년에 기자회견 방식을 부활시켰지만 역시 질문과 답은 사전에 정해져 있었다. 준비한 각본대로 움직인 기자회견은 노태우 전 대통령 때도 마찬가지였다.
작은 변화는 김영삼 대통령 때부터 이뤄졌다. 청와대가 질문을 정리하긴 했지만 질문 내용을 만드는 건 기자들의 역할이었다. 김대중 전 대통령은 직접 국민과 대면하는 자리를 만들었다. 신년 기자회견 대신 '국민과의 TV 대화' 행사를 열었다. 사상 처음으로 대통령이 일반 국민과 질의 응답하는 방식을 시도했다.
기자들이 대통령에게 질문하기 위해 앞다퉈 손을 드는 모습은 노무현 대통령 때가 처음이었다. 취임 100일 기자회견에서 '자유 질문' 형식이 도입됐다. 다시 후퇴가 이뤄진 시기는 이명박 정부 때였다. 신년 기자회견 대신 청와대 참모들만 배석시킨 자리에서 국정연설을 했고 기자들과의 질의 응답은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