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약 금맥’ 캐는 제약바이오업 中] 국내 신약 R&D 기술수출, ‘단계’인가 ‘한계’인가

2019-01-09 09:08
2015년 한미약품 기술수출로 시작…제약업계 생존전략으로 자리매김
신약개발 능력 해외 인정 ‘큰 의미’…기술수출 외 성장도 함께 고민해야

[사진=아이클릭아트]


‘신약 연구개발(R&D)’이 국내 제약업계에서 실질적인 생존전략으로 자리매김했다. 한미약품을 필두로 시작된 기술수출 추세는 현재 유한양행, GC녹십자, 동아에스티, JW중외제약, 코오롱생명과학 등 여러 제약사로 이어지고 있다.

2015년 한미약품이 해외 제약사와 수조원대에 이르는 신약후보물질 대규모 기술수출(판권 이전) 계약을 체결한 것은 국내 신약 R&D 추세에 불을 지폈다. 당시 수조원대 신약 가치는 사회적으로 집중 조명됐다. 이 시기를 전후로 제약업계에서 신약 R&D를 중심으로 하는 체질전환 시도가 본격적으로 이뤄졌다 해도 과언은 아니다.

신약후보물질 기술수출은 국내 신약 R&D 능력을 가늠할 수 있는 성과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세계 의약품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다국적제약사가 주목하고 있다는 것은 그만큼 신약으로서의 가치를 갖췄다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제약업계가 신약후보물질 기술수출에 주력하는 것은 비교적 경제적 기반이 부족한 상황을 고려한 전략적 선택이다. 한 제약사가 신약개발부터 상용화까지 이뤄내기 위해선 많게는 수조원에 이르는 비용을 감당해야 한다. 반면 기술수출은 초기 임상 후 수천억원 또는 수조원 계약을 통해 개발비용을 회수하고 영업이익을 확보할 수 있어 활용가치가 높다.

때문에 기술수출은 신약 R&D에 뛰어든 국내 제약업계에서 사실상 필수코스로 여겨지고 있다. 궁극적으로는 이러한 ‘단계’를 거치면서 신약 R&D 기술력과 자본금을 쌓아 나가야 향후에는 신약을 자체개발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도 나온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우려도 적잖다. 현재로선 기업 규모 측면에서 한계가 있는 만큼 신약후보물질 기술이전 계약이 필수처럼 여겨지고 있지만, 향후 이 같은 전략이 고착될 가능성도 무시할 수 없다는 이유에서다.

한 업계 관계자는 “신약후보물질을 확보해서 의미있는 연구 성과를 얻어내고, 그 성과를 근거로 물질 판권을 팔아서 얻은 수익으로 다시 연구에 투자하는 선순환구조가 만들어지고 있다”며 “다만 이 시점에서 계속 이 전략을 고수할 것인지, 또 다른 변화를 시도할 것인지에 대해서는 지켜볼 문제”라고 말했다.

한때 제약업계는 제네릭의약품(복제약)에 의존했다. 당시 복제약은 제약산업 성장에 안정적 토대였다. 때문에 상당수 제약사가 복제약 사업에만 몰두했다. 그러다 복제약 일괄약가인하와 불법리베이트 영업 규제 강화 등으로 새로운 매출 창출이 불가피했고, 그 대안으로 선택한 것이 ‘글로벌 신약 개발’이었다.

그러나 글로벌 신약은 개발뿐만 아니라 상용화에서도 난제가 많다. 각국에서의 허가와 생산공장 심사, 현지 의료진 네트워크와 마케팅 등을 모두 거쳐야 한다. 더욱이 국내사로선 상용화까지의 경험이 전무하다고 할 수 있을 만큼 부족하다.

이 같은 상황은 다국적제약사가 추진하고 있는 ‘오픈 이노베이션’(외부를 통한 신약개발) 전략과도 맞물리고 있다. 막대한 자금력과 영업 네트워크를 갖추고 있는 이들은 시장성이 충분한 신약후보물질을 확보해 개발하는 방식으로 미래성장기반을 이어가고 있다.

때문에 향후 국내사가 이들과의 신약후보물질 기술수출에서 벗어나는 노력이 병행되지 않는다면, 글로벌 신약 개발을 위한 ‘단계’가 아니라 ‘한계’에 부딪혀 기술수출에만 의존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최근 드러나는 신약후보물질 기술수출은 국내 제약산업에 길이 남을 역사로서 가치가 있다”면서도 “다만 실적 확보와 함께 이제는 글로벌 신약을 통한 실질적 성장을 이룰 수 있는 방안과 기회도 함께 고민해야 하는 시기”라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