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금융경영연구소, 내년 서울 주택가격 상승률 1% 안정 전망
2018-12-25 11:36
거시경제 충격 땐 시장 급랭 가능성도
서울의 내년 주택가격 상승률이 1% 내외에 그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정부의 강력한 규제 정책이 효과를 볼 것이란 얘기다.
25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우리금융경영연구소 경제연구실의 허문종 연구위원은 ‘9·13 대책 이후 서울 주택시장 동향 및 전망’이라는 보고서를 통해 서울의 내년 주택시장은 안정될 것으로 전망했다고 보도했다.
허 연구원은 보고서를 통해 “규제 강화, 거래 감소 등으로 내년 서울 주택시장은 안정될 것”이라며 “대기 수요와 공급 부족으로 하락 전환하기보다는 1% 내외의 강보합을 보일 것”이라고 내다봤다.
강보합 배경은 수요와 공급 간 불일치 때문이다. 수요가 견조한 반면 공급은 서울을 중심으로 부족하기 때문이다.
수급의 경우 올 3분기 기준 단기유동자금이 1105조원으로 명목 국내총생산(GDP)의 63.2%에 달하고 있다 즉 시중에 돈이 넘쳐난단 얘기다. 또 고소득층의 소득 증가율이 다른 계층에 비해 월등히 높고, 대기수요가 상당한 점은 추가 매수 여력을 뒷받침해준다.
반면 공급 측면에서는 '실질적인 공급 부족' 상태가 지속할 것으로 허 연구위원은 내다봤다. 수도권에서 주택 공급은 늘어나지만 서울 선호지역의 아파트 공급 증가는 제한적이기 때문이다.
국토연구원이 추정한 2018~2022년 서울의 연평균 신규 주택 수요는 5만5000호, 국토교통부가 추정한 연평균 공급물량은 7만2000호다. 수치상으로는 공급이 충분하다. 하지만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2014~2018년 서울의 전체 주택 준공물량 중 아파트의 비중이 연평균 40.6%로 서울을 제외한 지방의 57.5%보다 크게 낮다.
또 2018~2022년 연평균 신규 수요 가운데 아파트 수요가 4만호에 달하지만 신규 공급은 3만6000호에 그쳐 연평균 4000호 정도가 부족한 실정이다.
허 연구원은 거시경제에 충격이 있을 경우 부동산 시장 급랭도 우려했다. 그는 정부의 부동산 규제, 매매-전세가 갭의 확대, 전반적인 투자심리 위축 등이 시장을 위축시킬 수 있다고 봤다.
허 연구위원은 "현재로서는 가능성이 낮기는 하나 참여정부 당시처럼 규제 강화 이후 대내외 거시적인 충격이 더해질 경우 주택시장의 분위기가 급랭할 수 있어 예의주시가 필요하다"고 우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