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사 신약개발 사활…임상시험 등 직접적 지원 필요

2018-12-11 16:14
정부 제약산업 육성‧지원 정책, 기업의 실질적 수요 파악 중요

[사진=아이클릭아트]

국가 신성장동력 사업 중 하나로 꼽히는 제약‧바이오 신약개발에 대한 정부 지원이 확대될 필요가 있어 보인다. 특히 임상시험 등에 대한 직접적인 지원을 통해 글로벌 경쟁력을 높여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보건복지부는 ‘제약산업 육성‧지원 종합계획’에 따라 매년 3000억~4000억원에 달하는 예산을 제약산업에 투입하고 있다.

올해 지원금은 4324억원으로, 지난해 3789억원보다 535억원이 증가됐다. 이 중 R&D에 3839억원을 투자하고, 인력양성에 250억원, 수출지원 133억원, 제도개선 102억원을 투자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로 신약개발을 주도하는 다수 제약‧바이오 기업 등은 이 같은 정부 지원이 사실상 부족하다고 입을 모은다. 신약개발까지는 최소 1조원이상, 평균 2조7000억원 정도 소요되는 것으로 집계되고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R&D지원금은 다수 연구와 지원 기능 강화, 공익적 투자, 각종 인프라 등 전체를 아우르고 있어 실제로 기업이 원하는 임상지원과 같은 직접적인 지원은 부족하다.

한국신약개발연구조합 여재천 전무는 “제약‧바이오 기업이 30여년에 걸쳐 신약개발 파이프라인을 만들고 이것으로 성과를 보이고 있는데, 어떻게 보면 집중적인 지원이 필요할 때 그 시기를 놓치고 있다”며 “신약개발로 인한 기술수출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최종적으로 신약을 개발하고, 세계적으로 경쟁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 같은 과정에서 복지부 등 정부 지원도 큰 역할을 하고 있지만, 정부가 실제로 기업의 수요를 제대로 반영하고 있는가 하는 부분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신약개발 중인 기업이 1상 임상시험 후 2상 임상시험으로 넘어갈 때, 자금조달 등 문제로 인해 시기가 지체되는 경우 경쟁력 차원에서 큰 손해가 발생한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여 전무는 “최근 신약개발 중인 제약‧바이오 기업의 연이은 기술수출 소식이 들리는데, 기술수출료 성과에다가 리스크를 감안해 수천억원을 더 투자해야 임상시험을 할 수 있다”며 “이 과정에서 임상시험 등에 대한 실질적 지원이 있어야 글로벌 기업으로 한발 더 갈 수 있다”고 강조했다.

때문에 복지부뿐 아니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가 함께 임상시험 과정이 신약개발 완성으로 갈 수 있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복지부 예산만으로는 임상지원 등에 한계가 있으며, 부처 간 역할분담에서 벗어나야 제약산업 육성이 발전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또 “외국에서는 과학기술부처에서 제약사 신약개발에 도움을 주고 있다”며 “과기부에서는 생명과학육성법에 따라, 산업부에서는 중소‧벤처기업 등 기업지원 차원에서라도 제약산업 신약개발 핵심에 지원할 수 있어야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