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혼부부 내 집 마련, 행복주택-신혼희망타운 중 어디?

2018-12-03 15:55

'위례 신혼희망타운' 조감도. [제공=국토교통부]


#. 서울 송파구에 사는 예비 신혼부부 A씨는 가락동에 들어서는 재건축아파트 '헬리오시티' 내 행복주택(1401가구)에 입주 신청 후 당첨자 발표를 기다리고 있다. 내년 1월 18일 발표 예정이며 계약은 2월 진행된다. 이런 가운데 위례신도시에 짓는 '신혼희망타운'이 눈에 들어왔다. 이달 말 청약 접수를 받아 내년 1월 14일 당첨자가 발표된다. 계약시기는 3월이다. 청약일정이 비슷하다보니 두 주택 모두 신청했을 때 불이익은 없는지, 어떤 주택이 좋은지 궁금하다.

최근 서울 강남권과 위례신도시에 행복주택, 신혼희망타운 등 공공주택 공급이 활발해지면서 내 집 마련에 나선 신혼부부들의 선택의 폭도 넓어졌다. 다만 강화되는 주택 규제 속에 1주택자 여부, 가점 등을 꼼꼼히 따져봐야 한다.

3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위례 신혼희망타운은 오는 27~28일 청약 접수를 받는다. 총 508가구 중 행복주택을 제외한 340가구가 해당한다.

여기서 신혼희망타운은 공공분양주택으로 청약 당첨 시 1주택자가 된다. 당첨되면 입주는 필수다. 이달 중 시행 예정인 '주택공급에 관한 규칙' 개정안에 따라 분양권 보유자도 유주택자로 간주되는 만큼, 최종 계약 전이라도 1주택자가 되는 셈이다.

반면 행복주택은 공공임대주택이어서 1주택자로 분류되지 않는다. 입주 당첨이 돼 행복주택에 살면서 일반 분양에 청약을 넣는 데 제약이 없다.

현재 행복주택에 거주하는 신혼부부들이 신혼희망타운 청약에 대거 몰릴 것으로 예상되는 이유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신혼희망타운이 주거 대안인지 반신반의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

일단 위례 신혼희망타운이 위례신도시룰 구성하는 3개 권역(서울, 경기 성남시, 경기 하남시) 중 하남시에 공급되는 만큼 해당지역(시.도) 연속거주기간에 따른 가점 책정 시 기존 서울 거주자들은 혜택을 받을 수 없다.

또 수익공유형 모기지가 적용돼 분양가의 70%(한도 4억원)까지 최대로 대출을 받을 경우, 19년이 지나야 최저 환수율로 기금 정산비율이 떨어진다.

이 경우 이자비용 등을 고려했을 때 오히려 시중에서 빌리고 빨리 갚는 것이 낫다는 의견도 많다. 19년 후 집값이 오를 경우 시세차익을 일부 내놔야 하는 불확실성 등이 존재하는 탓이다. 물론 최근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으로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5%대 진입을 앞두고 있는 만큼 어떤 선택이 스스로에게 유리한지 잘 비교해봐야 한다.

신혼희망타운의 경우 위례에 이어 평택 고덕지구에서도 공급이 예정돼 있다. 여기에 강남권 개발의 또다른 핵인 수서역세권에도 2021년까지 행복주택 및 신혼희망타운이 지어질 예정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행복주택이나 신혼희망타운에 편법 청약이 없도록 주의를 기울일 것"이라며 "소득·자산 기준은 물론 의무거주기간 등을 잘 살펴 불이익이 없길 바란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