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명품업계, 中증시·부동산 침체 직격탄
2018-11-07 18:22
중국 증시·부동산시장 침체로 중산층 소비력 시들…명품업계 매출 타격
#중국 베이징에 있는 정보기술(IT) 기업에서 사무직으로 일하는 켈리 차이는 한때 프랑스 명품 브랜드 '루이비통'의 팬이었다. 루이비통에서도 그나마 싼 제품을 구매했지만, 최근엔 수십만원에 불과한 '코치' 핸드백조차 사지 않는다. "꼭 필요한 게 아니라 결정을 못하겠다"는 이유에서다.
니혼게이자이신문 자매 주간지 닛케이아시안리뷰(NAR)는 최근 차이와 같은 중국 중산층의 구매력이 약해지면서 글로벌 명품업계의 매출 성장세가 둔화했다고 보도했다. 한 예로 중국 본토인들의 쇼핑천국인 홍콩의 명품(보석, 시계 등) 매출 증가율은 지난 8월 20.8%에서 9월에는 2.2%로 뚝 떨어졌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2012년 시작한 반부패 단속의 역풍이 시들해지면서 2016년 말부터 강력해진 중국의 명품 수요 증가세가 다시 고꾸라지면서다.
루이비통 브랜드를 보유한 세계 최대 명품업체인 루이비통모에헤네시(LVMH)는 최근 중국 내 루이비통 제품 매출 증가율이 10%대 후반에서 10%대 초반으로 떨어졌다고 밝혔다. 중국의 수입 자동차 판매액도 지난 9월까지 3개월 연속 쪼그라들었다. 9월 감소폭은 11.6%로 6년여 만에 가장 컸다.
홍콩무역개발위원회의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중국 중산층 가정의 95%가 부동산을 소유하고 있고, 이들은 월간 소득의 26.6%를 주식 등 금융상품에 투자한다. 소비보다 투자 비중이 높다는 설명이다. 증시와 부동산시장의 침체로 인한 타격이 클 수밖에 없다.
중국 증시와 부동산시장이 냉각된 건 성장둔화의 결과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중국 지도부가 올해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 금융 리스크(위험) 차단에 집중한 데 따른 부작용이기도 하다. 주류 은행권을 통한 대출 문턱이 높아지자 중국에서는 온라인을 통한 P2P(개인 간) 대출이 성행했는데, 중국 정부는 최근 이에 대한 규제도 강화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