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승훈의 기사 맛보기] 건설업계, 이재명 경기지사에 '뿔났다'
2018-10-09 15:00
건설부동산부 강승훈 기자
이번 경기도의 추정가격 100억원 미만 공사 표준시장단가 적용 확대 방침은 간략히 말해 예산 절감 차원이다. 지난 8월 행정안전부 등에 '지방자치단체 입찰 및 계약 집행기준'의 개정을 건의했다.
당장은 이와 관련해선 설계를 기준으로 원가를 분석·산출하는 표준품셈을 반영한다. 표준시장단가는 대형공사의 준공된 공종 단가 때 계산하고 있다. 품셈보다 18% 낮게 산정되고, 입찰제도를 거치면서 13∼20% 추가 삭감된다.
이런 이유에 따라 2015년 1월 국가정책조정회의(공공건설 공사비 제고방안)에서 중소기업 보호 차원에서 100억원 미만 공사의 표준시장단가 적용을 제외시켰다.
건설업계의 반발 이유를 정리하면 먼저 공사 크기·범위별 자재 구매, 장비 임대, 인력 활용 등 생산성의 차이로 중소규모 땐 물량이 적어 원가절감에 한계가 있고, 300억원이 넘는 공사라야 규모의 경제성이 발생한다는 것이다.
아울러 입·낙찰 제도의 개선이 우선되지 않은 표준시장단가 적용 확대는 지역 중소건설업체 경영상 피해에 더해 공사의 안전·품질저하 등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지역에 기반을 둔 이들 기업의 경영악화는 경제 위축 및 고용 감소 등 연쇄적 부작용 발생이 불가피하다고 우려한다.
한 건설사 관계자는 "적정공사비는 품질과 안전은 물론 6만여 중소업계의 생존과도 직결되는 문제이다. 대형공사를 기준으로 작성된 표준시장단가 적용은 부적절하다"고 목소리를 냈다.
우리나라 전체 취업자의 7.4%(약 200만명)를 건설업이 차지하고 있다. 하도급 및 자재업자, 장비업자, 이사·청소업체, 부동산, 주변식당 등 연관산업이 다양해 서민 일자리와도 직결된다. 종합건설업체의 97.4%(9824개사)가 중소·영세기업이기도 하다.
공공공사 10건 중 4건이 일반관리비 및 이윤조차도 못 남기는 '적자공사'란 분석도 있다. 건설업계의 현재 행동이 더욱 이해가 가는 대목이다. 과거 시설물 부실위험 증가로 국민안전을 위협한 사례도 있다. 덤핑수주(낙찰률 66.55%)로 준공 뒤 15년 만에 붕괴한 '성수대교' 시공이 대표적이다.
2017년 건설투자는 국내총생산(GDP)의 16.6%, 경제성장 기여율은 38.7% 수준에 달한다. 또 생산유발계수는 전 산업 평균(1.891)보다 높은 2.225로 서민·지역경제를 견인하는 뿌리산업이라 불린다.
사회간접자본(SOC) 투자의 지속 감소 등으로 한계상황에 봉착한 범건설업계(종합·전문·설비건설협회 포함 22개 단체)는 공사비 탄원서 제출 및 대국민 호소대회 등 생존을 위해 투쟁 중이다. 정부는 이들의 안타까운 사연에 귀를 기울여야 할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