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날, 예전엔 10월 29일이었다? 북에서는 1월 15일 '조선글날'로

2018-10-08 10:48
한글 창제 과정 은밀하게 진행돼 정확한 기록 없어…南 한글날, 반포 기준 vs 北 조선글날, 창제 기준

지난해 10월 9일 오후 서울 종로구 광화문광장에서 열린 '한글문화 큰잔치'에서 시민들이 한글문화연대가 설치한 571돌 한글날 시민 꽃 바치기 조형물에 장미꽃을 꽂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오는 9일 한글날이 572돌을 맞는다. 한글날은 세종대왕이 한글을 창제한 것을 기념하고, 한글의 우수성을 기리기 위한 국경일이다.

한글날이 처음부터 10월 9일이었던 것은 아니다. 한글날이 10월 9일로 지정되기까지는 많은 우여곡절이 있었다. 세종이 한글을 만드는 작업을 은밀하게 추진한 탓에 조선왕조실록에 한글 창제와 관련된 기록이 분명하게 나오지 않았기 때문이다.

실록 세종 25년(1443년) 음력 12월조에는 "이달에 임금이 친히 언문 28자를 지었다"는 언급이 있을 뿐 정확한 날짜는 명시되지 않았다. 3년 뒤인 세종 28년(1446년) 음력 9월조에도 "이달에 훈민정음이 이뤄졌다"고만 기록돼 있었다.

무엇을 한글 창제의 기준으로 삼아야 할 지에 대한 논란이 일던 중 학계는 1443년을 훈민정음을 창제한 것으로, 1446년을 훈민정음을 반포한 것으로 받아들이기로 잠정 결론을 내린다. 이때 또 한 번 논란이 생기는데, 훈민정음을 반포한 날짜가 정확하게 기록돼지 않았던 탓이다. 학계에서는 9월 그믐날로 가정하고 양력으로 환산해 당초 10월 29일을 한글날로 정했다.

지금과 같이 한글날이 10월 9일로 바뀌게 된 것은 1940년 훈민정음 혜례본 원본이 발견되면서다. 정인지가 쓴 혜례본 서문 중 "세종 28년 9월 상순에 펴냈다"는 내용에 따라 1446년 9월 상순 마지막 날인 음력 9월 10일을 양력으로 환산한 것이다. 이에 따라 1945년 광복 이후 대한민국 정부는 10월 9일을 한글날로 제정하고 법정공휴일로 지정했다.

한편 북한에서도 '조선글날'이라는 명칭으로 한글 창제를 기념하고 있다. 다만 날짜는 남한과 다른 1월 15일이다. 반포를 기준으로 삼은 남한과 달리, 훈민정음의 창제를 기준으로 기념일을 지정한 것이다.

재미있는 것은 1961년까지는 1월 9일을 조선글날으로 지켜오다가, 1963년부터 지금의 1월 15일로 변경했다는 사실이다. 북한 정부는 날짜 변경에 대한 이유를 밝힌 적이 없다. 일부 전문가들은 김일성 주석이 항일투쟁 시절 창간했다는 신문 '소년'의 창간일에 맞춘 것이라는 분석을 내놓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