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연구원 "청년고용 확대 위해 경기도형 청년보장제 도입해야"
2018-08-05 09:38
지난해 도내 청년 실업률 10.5%...지역 간 노동시장 격차도 심화
청년 노동시장의 불안정성이 우리사회의 주요한 문제로 떠오른 가운데, 청년층에게 맞춤형 지원을 강화하는 경기도형 청년보장제를 도입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경기연구원은 5일 청년고용 부진 문제와 주요 특징을 분석하고, 청년보장제의 도입 방향을 제시한 ‘새로운 청년 고용전략- 청년보장제’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08~2017년 우리나라의 청년인구(15~29세)는 987만명에서 928만명으로 감소한 반면, 청년실업자 수는 오히려 31만 8천 명에서 42만 6천 명으로 33.96% 증가해 청년 노동시장 환경은 악화됐다. 경기도의 경우, 청년 실업률은 2017년 10.5%로 나타나 전국 평균인 9.8%를 상회해 다른 시·도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숙련노동자에 대한 수요 및 공급 비중이 모두 전국 평균보다 낮아 ‘저숙련 균형’ 상태에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저숙련 균형상태란 일자리의 불안정성이 높고 청년들이 원하는 괜찮은 일자리(시간당임금이 중위 이상, 주당 15~49시간 근무, 상용직을 모두 충족시키는 일자리)가 상대적으로 부족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저숙련 균형상태에서는 숙련도가 높은 청년들이 지역 외로 유출돼 고용 상황을 악화시키고 지역 경제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예측했다.
청년보장제 도입 방향으로 △청년기본소득제도 및 중소기업연금제도 도입 △주거복지 확대 및 지역청년공간 설립 △실업유형별 지원 프로그램 구체화 △청년 통합 고용서비스 지원센터 운영 △지역특화산업과 연계된 청년창업 지원 확대 △청년모임 플랫폼 구축 및 자존감 회복 프로그램 운영 △타임뱅크 혹은 지역화폐와 결합한 참여소득제도를 제안했다.
최 연구위원은 “경기도는 그동안 관심이 적었던 지역 단위 청년 직업훈련을 강화하고 숙련지원 프로그램을 확대, 지역고용서비스기관을 허브로 하는 거버넌스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