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지능형 전력망 구축에 5년간 4.5조원 투자
2018-07-18 17:30
산업부, 제2차 지능형전력망 기본계획(2018~22년) 발표
정부가 에너지전환 시대, 소비자 중심의 전력시장 생태계 조성을 목표로 4개 부문별 정책에 2022년까지 4조5000억원을 투자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스마트그리드 서비스가 구현되는 체험 단지 조성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제2차 지능형전력망 기본계획'이 18일 '녹색성장위원회'에서 심의·확정됐다고 밝혔다.
산업부 관계자는 "제1차 기본계획이 스마트계량기(AMI), 에너지저장장치(ESS) 등 인프라 조성, 서비스 사업화를 통한 초기시장 창출이 중심이었다면 2차 계획은 국민 편익을 지향하는 서비스 모델의 확산, 유연한 전력망 시스템 확보에 중점을 둘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정부는 이번 2차 기본계획의 목표로 '에너지전환 시대, 소비자가 중심이 되는 전력시장 생태계 조성'을 설정하고 ▲스마트그리드 신(新)서비스 활성화 ▲스마트그리드 서비스 체험단지 조성 ▲스마트그리드 인프라 및 설비 확충 ▲스마트그리드 확산 기반 구축 등 4대 부문별 정책을 마련했다.
우선 현재 산업용·일반용에 적용되는 계시별 요금제를 주택용으로 확대하기 위해 올해 하반기부터 2000가구를 대상으로 2년간 주택용 계시별 요금제 시범사업을 추진한다.
계시별 요금제는 봄가을·여름·겨울 3계절, 최대·중간·경부하 3개 시간대별로 전기요금을 차등 적용하는 것을 말한다.
또한 현재 대형 공장이나 빌딩 소비자가 참여하는 수요자원 거래(DR) 시장을 국민 DR 시장으로 확대해 소형 상가나 주택용 소비자도 수요감축 요청을 받으면 스마트가전을 이용하거나, 모바일앱을 통해 정보를 제공받고 소비자가 직접 전기사용을 줄여 수익을 얻을 수 있는 제도도 마련한다.
소비자가 개인정보제공에 1회만 동의하면, 일정 기간 한전이 전력사용정보를 사업자에게 직접 제공하는 전력 빅데이터 플랫폼을 내년부터 운영해 이웃 간 전기요금 비교, 국민 DR 등 빅데이터를 활용한 새로운 사업모델을 발굴·확산한다.
신재생에너지, ESS, 전기차 등 소규모 전력자원을 모아 거래하는 전력중개사업은 올해 말까지 시행령과 관련 규정을 개정해 제도를 마련하고, 내년부터 전력중개시장을 개설 본격 운영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2개 도시 지역을 선정해 주민들이 일상생활에서 다양한 스마트그리드 서비스를 직접 체험할 수 있는 서비스 체험단지를 조성한다.
선정된 도시에는 스마트계량기(AMI), 태양광, 전기차 충전기와 같은 분산형 전력설비를 집중·구축하고 계시별 요금제, 전력중개사업과 같은 서비스를 단계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또한 미래 재생에너지가 지속적으로 늘어날 것에 대비해 실시간으로 신재생발전소를 감시·제어할 수 있도록 2020년까지 '신재생통합관제시스템'을 구축한다.
특히 정부는 미래 스마트그리드 확산에 대비하여 송배전망, 변전소 등 전력망의 정보통신(ICT) 인프라 확충에도 향후 5년간 2조5000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스마트그리드 확산과 산업계의 혁신역량 강화를 위한 기반도 구축한다.
인공지능·블록체인 등 요소기술을 활용한 기술개발 등에 5년간 4000억원을 지원하고, 2020년까지 개별기기와 전력망과의 상호운용을 위한 표준화 로드맵 개정을 추진한다.
정부는 공공부문과 공동으로, 5년간 4조5000억원을 투자해 민간의 신시장 창출을 지원해 나갈 계획이다.
백운규 산업부 장관은 "지능형전력망은 재생에너지, 에너지저장장치 등 분산자원을 전력망에 효율적으로 연계·통합하고, 에너지신산업을 창출하는 혁신성장의 동력"이라며 "지능형 전력망 구축을 통해 에너지믹스의 전환을 넘어, 에너지산업을 근본적으로 변혁하여 에너지전환을 완성해 나가겠다"고 밝혔다.